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전문가
보건복지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3일 전 작성 됨
Q.
클라이밍하고나면 손바닥에 딱딱한게 만져지고 누르면 아파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손바닥 표시된 부위는 클라이밍할 때 하중이 많이 실리는 곳이라 피하조직 미세손상, 굳은살, 작은 건초염성 결절이 생기기 쉽습니다.운동 직후엔 붓고 딱딱해졌다가 며칠이 지나면서 진정되는 것은 반복적인 압박과 마찰로 인한 일시적 염증 반응일 수 있습니다. 심해지면 섬유화된 굳은살처럼 만져지기도 하고 드물게 힘줄 주변에 작은 결절이 생기기도 합니다!
정형외과
23일 전 작성 됨
Q.
턱관절 부딪혀서 아픔 어디 병원 가야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턱관절을 세게 부딪힌 후 붓기 통증 벌릴 때 불편함이 있으면 외상으로 인한 턱관절 손상 가능성이 있습니다. 우선 구강악안면외과나 이비인후과 정형외과에서 진료 가능합니다!엑스레이나 ct촬영을 통해서 골절이나 탈구 관절 손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정형외과
23일 전 작성 됨
Q.
손등 한부분이 볼록하게 부었는데 뭐때문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손톱이 벗겨지면서 손끝 상처를 통해 염증이 생기면 손등 혈관이나 힘줄 주위까지 이어져 붓기 쑤시는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사진에서 말씀하신 불룩한 부위가 혈관염이라기 보다 국소적인 염증이나 부종일 가능성이 높아요 패혈증은 전신 열이나 오한, 붓기, 발적이 동반될 때 의심해서 지금 단계에서는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정형외과
23일 전 작성 됨
Q.
엄지발가락 발톱과 살이 연결된 부분 아파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엄지 발톱 위 살이 아픈데 붓기 발적이 없다면 심한 염증보다는 압박, 미세 손상, 혹은 발톱 주변 피부 자극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내성 발톱이 아니더라도 발톱이 자라는 과정에서 살을 누르거나 운동화 속에서 반복 마찰이 생겨 통증이 날 수 있습니다. 통증이 가볍고 외관상 변화가 없다면 온찜질, 편한 신발 착용과 발톱 모서리 자극 줄이기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23일 전 작성 됨
Q.
날개뼈 통증인지 승모근 근육통인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광배근 운동 시 상부 승모근이나 견갑골 주변이 뭉치고 눌렀을 때 아픈 것은 대부분 근육 긴장, 근막통증에 가깝습니다. 특히 쇄골 골절 후 철심이 박혀 있다면 어깨 움직임이 제한되면서 보상작용으로 승모근과 견갑 부위에 과부하가 잘 옵니다. 마사지건으로 완화되는 것도 근육성 통증일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정형외과
23일 전 작성 됨
Q.
발목인대수술 봉합부위 염증 맞는지 봐주세요ㅠㅠ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수술 부위에 노란 색 동그란 부분이 보이는 것은 딱지나 섬유조직, 가피일 가능성이 높아 꼭 염증이라고 단정하긴 어렵습니다. 염증이면 보통 붉은기, 열감, 통증, 분비물이 동반되는데 그런 증상이 없다면 큰 문제는 아닐 수 있습니다. 담당의사가 특별한 처치를 안해도 된다고 했다면 자연 치유과정으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형외과
23일 전 작성 됨
Q.
발목불안정 수술 후 5주차 통깁스 뿌사짐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통깁스가 깨져 고정력이 떨어진 상태라면 반깁스로라도 임시 고정해 두는 것이 훨씬 안전합니다. 다만 수술 후 5주차는 아직 안정화가 필요한 시기라 가능하면 병원에 바로 문의해 교체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복숭아뼈 위쪽의 쑤심과 압통은 회복 과정에서 생기는 염증 반응이나 깁스 압박, 수술 부위 주변 조직 자극 때문일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23일 전 작성 됨
Q.
계단 내려갈 때 양쪽 무릎이 아파요 ㅜㅜ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계단 내려갈 때 무릎이 삐걱거리며 아픈 건 흔히 연골 연화나 퇴행성 변화 초기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50대부터는 노화의 한 과정일 수 있지만 체중 자세 근육 약화도 큰 영향을 줍니다.관절약보다는 무릎 주변 근육 강화 운동과 체중 관리가 우선입니다.
정형외과
23일 전 작성 됨
Q.
재활치료에도 불구하고 기능적 회복이 어렵고, 후유장해가 고정되었다고 판단된다고 하는데요. 위의 내용이 후유장해진단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말씀하신 문구는 일반 진단서보다 후유장해 진단서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재활치료에도 불구하고 기능적 회복이 어렵다와 후유장해가 고정되었다는 것은 장해가 영구적 상태임을 의미합니다.특히 경추부 신경근 병변으로 인해 장해지급률 산정이 필요한 경우 이런 표현이 후유장해 인정의 핵심 근거가 됩니다!
정형외과
23일 전 작성 됨
Q.
“장해 고정” 또는 “영구적”이라는 표현이 들어가야 장해심사에 유리할까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장해심사에서는 단순히 통증이나 불편감이 아니라 영구적으로 회복이 어렵다는 객관적 의학적 소견이 중요한 근거가 됩니다. 따라서 장해 고정 또는 영구적이라는 표현이 진단서 소견서에 기재되면 심사 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장해지급률 산정 기준은 해당 부위의 영구적 기능 손실 여부를 전제로 하기 때문입니다!
51
52
53
54
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