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관세청의 반덤핑 회피 조사, 해외무역 실무자는 어떤 점에 대비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반덤핑 회피 조사가 본격화되면 제일 먼저 문제가 되는 게 원산지 관리입니다. 거래처에서 발급받는 원산지증명서가 단순 형식이 아니라 실제 생산 공정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게 필요합니다. 또 물류 흐름상으로는 제3국 경유가 가장 취약 지점이 됩니다. 예를 들어 중국산을 동남아 거쳐 들어오는데 서류만 바꿔치기 되는 경우가 많아 세관에서 집중적으로 보는 부분입니다. 실무에서는 계약 단계에서부터 공급망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운송 경로를 명확히 관리해두는 게 중요합니다. 결국 기업 입장에서는 단순히 세율 문제를 넘어 신뢰 문제로 번지기 때문에, 초반부터 증빙자료를 정리해 두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어책이 됩니다.
Q. 정책 불확실성 큰데, 무역 리스크 관리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정책이 자꾸 바뀌면 제일 먼저 흔들리는 게 가격 협상과 공급망 안정성입니다. 세율이 오르락내리락하면 원가 계산이 틀어지고, 수출입 스케줄도 꼬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현장에서 기업들이 많이 쓰는 방법은 관세 위험을 분산하는 겁니다. 예를 들면 특정 국가 의존도를 줄이고 여러 시장에 동시에 발을 걸쳐두는 식입니다. 또 계약 조건에서 인코텀즈를 신중히 선택해 리스크를 어느 쪽이 부담할지 명확히 하고, 갑작스러운 정책 변경에 대비해 세이프가드 조항을 넣기도 합니다. 관세 우대 협정을 적극 활용해 관세 충격을 완화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Q. WTO 규칙 훼손, 다자무역 체제는 흔들리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다자무역 체제가 흔들린다는 얘기는 사실 몇 년 전부터 꾸준히 나오던 얘기입니다. WTO의 가장 큰 원칙이었던 최혜국 대우가 약해지면, 결국 국익에 맞는 쪽으로 나라들이 쏠리게 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이나 EU가 특정 국가와만 유리한 조건을 주고 협정을 맺는 식으로 흐르는 거죠. 이런 양자나 소규모 지역 협정이 많아질수록 WTO가 가진 보편적인 규범력은 점점 줄어드는 게 현실입니다.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수출 시장 다변화 전략이 더 복잡해질 수 있고, 협상력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일 가능성이 커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WTO가 완전히 무력화된 건 아니지만 예전만큼의 구심점 역할을 하기는 어렵다고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