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보험이 높을수록 연봉이 높을까요
고용보험이 높을수록 연봉이 높은게 맞을까요 같이 일하는 동료들 대부분 저보다 고용보험이 높네요 제가 야간 일을 덜해서 그런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임금에 비례하여 고용보험료는 높아집니다. 따라서 고용보험료를 많이 낸다면 연봉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고용보험은 임금의 0.9%가 부과됩니다. 따라서 고용보험료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임금이 높다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
고용보험이 높을수록 연봉이 높다기보다는, 연봉이 높을수록 고용보험이 높게 계산될 수 있습니다. 고용보험은 월평균보수에 따라 매월 다르게 계산되기에 월급여가 높은 근로자일수록 고용보험이 더 많이 공제될 수 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고용보험과 근로자의ㅏ 연봉에 대하여 직접적인 연관관계가 있지는 않습니다.
연봉은 당사자간에 체결한 근로계약으로 정한 바에 따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도현 노무사입니다.
고용보험은 월급액(비과세 제외)의 0.9%의 비율로 공제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용보험이 높다면 월급액이 높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갑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
고용보험료는 보수월액에 고용보험료율을 곱해서 산정하기 때문에, 연봉이 높을수록 고용보험료를 많이 낸다는 말이 맞습니다
현재 실업급여에 대한 고용보험료율은 1.8%이기 때문에 근로자외 사용주가 0.9%씩 납부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
고용보험료는 임금에서 비과세수당을 제외한 보수액을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따라서, 고용보험료를 보다 많이 납부한다는 것은 임금을 보다 많이 지급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고용보험료는 근로자의 과세 대상 소득에 비례합니다. 고용보험료가 높다는 것은 소득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정확한 사정은 모르겠지만 고용보험료는 근로자의 세전 월급여에서 0.9%로 계산을 합니다. 따라서 월급여가 높을수록
고용보험료의 금액이 크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
고용보험료 근로자 부담액은
"해당 근로자의 보수월액(월 임금 중 비과세 식대 등을 제외한 금액)"×0.9%로 산정합니다.
따라서, 연장•야간•휴일근로 등으로 인하여 월 임금 지급액이 상승하면, 고용보험료 납부액도 그에 따라 상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