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엉뚱한두루미2025
엉뚱한두루미2025

집을볼때 용적률이라는건 어떤건가요?

주변집값이라던지 집에대해 정보를얻고있는데 가만보니 용적률이라는게 있더라구요. 집에서의 용적률은 무엇을뜻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은 건축물의 연면적을 대지 면적으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여기서 연면적은 건축물의 각 층 바닥 면적을 합한 값입니다. 용적률이 높을수록 건축물의 층수가 높아지거나, 면적이 넓어집니다. 용적률은 부동산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용적률이 높을수록 건물의 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에, 부동산 투자 시에는 용적률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은 건축물의 대지 면적 대비 건물의 총 바닥 면적을 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쉽게 말해, 한 대지 위에 건물을 얼마나 높게 또는 넓게 지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기준입니다.

    예를 들어 대지면적이 100이라고 가정을 한다면 1층의 건물바닥면적이 100이라고 한다면 용적율 100%

    이 건물을 2층으로 지으면 건물바닥면적 100 X 2층 하면 용적율이 200% 라는 뜻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은 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으로 연면적은 건물 각 층의 바닥면적 합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용적률에 따라 건물건축시 지을수 있는 건물의 높이가 제한될수 있기에 재건축이나 건물 건축시 매우 중요한 규제에 해당됩니다. 보통 용적률은 해당 용도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고, 상업지역내 용적률이 주거지역에 비해 높은 편입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주변집값이라던지 집에대해 정보를얻고있는데 가만보니 용적률이라는게 있더라구요. 집에서의 용적률은 무엇을뜻하는건가요?

    ==> 용적율이란 해당 주택의 각 층별 면적합계비율입니다. 토지이용계획에 따라 용적율이 높은 주택일수록 가격도 높고 투자적인 측면에서 용적율이 낮은 아파트 단지 등을 채택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연면적(건축물 각층 바닥 면적을 모두 더한 면적)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토지의 면적에 대해서 건축물 각층 바닥 면적 합계가 어느정도 되는지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인데 (용적률 = 건축물바닥면적의 합 / 대지면적 x 100) 용적률 계산시 연면적에서 공중의 통행로, 물탱크, 기타 주민공동시설 등 건축법에서 정한 것들의 면적은 제외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용준 감정평가사입니다.

    용적률이란 건물의 연면적을 대지의 면적으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용적률이 높다면 고층건물이 건축가능한 땅인 것이고 용적률이 낮은 경우 저층으로만 건물을 건축할 수 있는 땅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율은 건페율과 함께 매우 중요힌 개념중 하나입니다

    건폐율은 대지 면적에 대한 1층 건축 바닥면적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에 반하여 용적율이란 대지 면적에 대한 건물의 총면적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용적율이 높다는 것은

    건축물의 늪이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참고적으로 용도지역별 용적율을 살펴보면 주거지역의 1.2.3.종의 용적율은 50%에서 최고300%이며 준주거지역은 200-500%입니다

    상업지역은 200-1500% 이하입니디

    녹지지역은 50-100%입니다

    따라서 상업지역에서 빌딩의 높이가 늪은 것은 용적율의 높다는 의미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은 특정 토지에 건축할 수 있는 건물의 총 바닥 면적과 그 토지 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용적률이 높을수록 같은 면적의 땅에 더 많은 건물을 지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용적률이 200%인 경우, 100㎡의 땅에 최대 200㎡의 건물을 지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건폐율의 개념과 함께 이해햐셔야 정확히 이해가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건물의 가치는 건물이 선 땅의 값 + 건축물의 값이고 용적률이 높다는 것은, 해당 건물의 가치에서 건축물의 값의 비중이 높다는 뜻입니다

    건물의 소유권을 가진 사람들은 건물이 선 땅에 대한 지분(대지지분)을 나눠갖는데, 용적률이 높을수록 1인당 대지지분은 작아질 수밖에 없고 흔히 용적률이 낮으면 투자하기 좋다고 하는 이유는, 땅에는 감가상각이 없지만 건물에는 감가상각이 있기 때문입니다

    건물을 새로 지을때 용적률을 많이 받아서 층수를 높게 지으면 당장은 좋지만 본인 지분은 적기때문에 나중에는 값이 떨어질수 있는 오피스텔을 예로 생각 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투자를 할때는 지분을 보고 하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이란 건물의 연면적을 땅의 넓이로 나눈 비율로 정의됩니다. 쉽게 설명하면 해당 토지에 얼마나 높이 지을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용적률이 높을수록 대지면적 대비 건축연면적이 넓다는 것이고, 이는 건물을 고층으로 지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용적률이 높은 토지의 그 가치는 낮은 토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비슷한 위치의 토지라 하더라도 주거용지 인지 상업용지인지 계획관리 인지 등에 따라서 용적률이 매우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는데 이는 높이 지을 수 있으며 그러한 부분이 더 큰 개발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 가치가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은 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 비율입니다.

    연면적은 건물의 지상층 면적을 합친 값입니다.

    이때 주차장, 주민공동시설, 필로티 등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지하1층, 1층, 2층, 3층, 각각 50m2, 80m2, 50m2, 50m2 이라면 지상층을 합친 180m2이 됩니다.

    이때 대지면적이 100m2이라면 용적률은 180%가 되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