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구수 증가는 언제까지 이어질까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인구는 해마다 감소하고 있지만 가구수는 여전히 증가중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그동안은 부동산 시장 타격없을꺼 같은데, 언제까지 이어질까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1인가구가 늘어나서 가구수가 증가 하는것입니다
예전에는 주로 4인가구로 살았는데 요즘은 성인이 되면 독립을 하다보니 인구는 감소하는데 가구수는 늘어났다고 봅니다
원룸,투룸이나 오피스텔은 그래도 유지가 되는 편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가구수가 늘어나는 것은 이전보다 1인가구가 많아졌기 때문에 수치상 세대수는 늘어날수 있지만 세대별 세대원수는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 결과로써 부동산 시장은 시간이 지날수록 인구감소에 따른 수요감소 효과를 받을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가구수 증가도 결과적으로는 결혼과 출산을 하지 않을 경우 한계가 올수 밖에 없기에 장기적인 측면에서 보면 부동산 시장에도 수요감소가 점차 커질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 인구감소의 결과는 현재보다 미래인 향후 10년뒤 , 20년뒤 시장에 직접적 타격이 오기 떄문에 현재 부동산 시장에 대한 우려보다는 미래 부동산 시장 전반에 대한 불안감이 더 크게 다가올수 밖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속해서 한동안은 가구수에 대한 문제는 크게 없어 보입니다. 이전에는 한 가구에 4명이 살기도 했고 그 이상도 많았지만 최근에는 각자 살기도 하고 이혼하는 가정도 많다보니 가구 수 걱정은 크게 안하셔도 될 듯합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인구는 해마다 감소하고 있지만 가구수는 여전히 증가중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그동안은 부동산 시장 타격없을꺼 같은데, 언제까지 이어질까요?
==> 통계청 조사결과에 따르면 가구수 증가는 대도시 위주로 형성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30년 이상 된 주택이 280만호이고, 20년 이상된 주택은 763만원이고 출생인구가 점차 적어지고 있고 앞으로 5년부터 지방부터 빈집이 증가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신기백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가구수 증가는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여러 요인에 의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그 지속성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변수들이 작용합니다. 아래에서 가구수 증가의 원인과 지속 가능성, 그리고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가구수 증가의 원인1인 가구의 증가
최근 몇 년간 1인 가구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젊은 세대의 독립적인 생활 선호, 결혼 연기, 이혼율 증가, 고령화로 인한 독거노인 증가 등의 요인에 기인합니다.
고령화 사회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독거노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체 가구 수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결혼 및 출산 패턴의 변화
결혼과 출산이 줄어들면서 핵가족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더 작은 규모의 가구가 증가하면서 전체 가구 수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가구수 증가가 언제까지 이어질 것인지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현재 추세가 유지된다면, 가구수 증가는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변수들이 가구수 증가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인 가구 증가의 한계
1인 가구 증가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더 이상 급격히 증가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가구수 증가의 둔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정책 변화
정부의 인구 정책, 출산 장려 정책, 주거 정책 등의 변화가 가구수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출산 장려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면 가구당 인원 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경제 상황
경제적 여건이 가구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 독립 가구 형성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가구수 증가는 부동산 시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가구수가 증가하면 주택 수요가 증가하여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구수 증가가 둔화되거나 감소하기 시작하면 주택 수요도 감소할 수 있습니다.
현재의 가구수 증가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지만, 여러 요인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1인 가구의 증가, 고령화, 결혼 및 출산 패턴의 변화 등이 가구수 증가를 이끌고 있지만, 이러한 요인들이 일정 한계에 도달하면 가구수 증가는 둔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동산 시장의 장기적인 전망을 위해서는 이러한 변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과거 7 ~ 8인 가구가
4인 가구로 줄어들었고
3인, 2인, 1인 등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출산률에 대해 정부측이 강력한 지원 정책이 나오면
언젠가는 다시 3~4인 가구로 맞춰질거라 생각됩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통계청의 인구총조사 및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750만 명에 달했던 1인 가구는 2032년에는 약 850만 명으로 100만 명(12.5%)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구요.
같은 기간 전체 가구 수는 202만 가구(9.3%) 증가할 전망이라네요.
또한, 체류 외국인은 2022년 251만 명으로 2년 만에 55만 명(28%) 증가했다고 합니다.
[출처]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로 주택 공급 부족론에 시장 활성화 기대|작성자 행부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가구수 증가 추세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정적으로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추세와 전문가들의 예측을 종합해 볼 때, 가구수 증가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에는 1인 가구의 증가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1인 가구 비율은 약 38%로, 전체 가구수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에는 3세대 이상 동거하는 가구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핵가족화가 진행되면서 2인 가구 비율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말씀하신데로 인구를 줄고 있지만 세대는 증가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인구 감소를 정부에서 손 놓고 있지는 않습니다.
예전 베이비붐 시대가 있었듯이 정부에서 출산 장려책을 강력하게 진행 해서 출산율을 먼저 올려야 됩니다.
부동산또한 수요와 공급을 잘 조정해서 부동산시장도 안정화를 시킬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