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파란고릴라52
파란고릴라5223.11.17

아파트마다 세대당 적정 주차대수는 어느 정도가 좋은가요?

아파트 단지마다 세대당 주차대수가 1.3대, 2대 등 표기가 되어 있습니다.

세대당 주차대수가 몇 대 이상 나와야 실제로 주차하기 편리한가요.

적정 주차대수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법상 주차공간 확보 기준은 명시되어 있지만, 아파트 단지별로 가구당 소유자동차수에 따라 부족할수도 여유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세대당 1.1대의 경우는 이중주차는 기본, 주차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확률이 높고, 1세대당 1.4대일 경우는 이중주차는 없을수 있으나, 널널하다는 느낌을 받기는 어렵습니다. 평균 1.5대를 넘어서면 주차문제가 적은게 보통입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1.5대 이상이면 어지간하면 문제는 없고,

    1.2대 정도면 밤늦게 오면 구석자리 밖에 없는 정도일 듯 합니다.

    1대 정도면 좀 모자르다는 느낌 들구요.

    그렇다고 다 그런것은 아니고 지역에 따라서도 다르고 단지 규모에 따라서도 다를 듯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아파트에 대형평수가 많으면 주차대수가 많습니다.

    1.3은 많은편은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세대당 주차대수는 아파트의 연식, 전용면적, 지역, 주차장 형태등에 따라 다르게 정해집니다. 일반적으로 세대당 주차대수가 1.5이상이면 주차하기 편리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세대당 주차대수가 1대도 안되는 경우에는 이중 주차나 삼중 주차를 해야 할수도 있으므로 주차난이 심각할수 있습니다.

    아파트 세대당 주차대수는 법정 주차대수라는 기준에 따라 정해집니다.

    법정 주차대수는 지자체 조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지만, 보통 전용면적 85제곱미터 이하일때는 75제곱미터당 1대이상, 85제곱미터를 초과할때는 65제곱미터당 1대 이상의 주차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예로 전용면적이 85제곱미터인 100세대의 아파트는 최소 114대의 주차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아파트의 주차장 형태도 세대당 주차대수에 영향을 줍니다. 90년대 이전에 지어진 아파트들은 대부분 지하주차장이 없고, 90년대 이후에 지어진 아파트들은 대부분 지하 1층으로만 주차장을 갖추고 있습니다. 2000년대 이후에 지어진 아파트들은 지하를 통째로 주차장으로 만들고, 지상의 주차공간을 최소화하거나 없애서 보행자와 자동차의 동선을 분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세대당 주차대수가 높아지고, 주차환경이 좋아집니다.

    아파트의 주차난 여부를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저녁시간대에 해당 아파트 주차장에 가보는 것입니다. 또한 지하주차장과 엘리베이터가 연결되어 있는지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하주차장과 엘리베이터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주차 후 집까지 가는 데 불편함을 겪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는 여러 세대가 살고 한 세대에 차량 3대, 4대, 5대를 보유하고 있을 수도 있어 적정 차량 대수를 알 수 없습니다. 아파트건축 당시 건축법, 주차장법에 의해 1세대 당 주차장대수를 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