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전세만기시 집주인 바뀔경우.
전세 2년 만기때 집주인이 집을 매도시 새로운 집주인이 들어와서 산다고하면 제가 나가야할수도 있나요?
아님 제가 2년 연장을 하고싶다하면 우선권이 누구에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차2법 중에 계약갱신청구권이라고 있습니다. 세입자가 첫 계약 만기후 2년 더 살 수 있는 권리인데 단 한가지 임대인이 직접 거주를 원할 경우는 집을 비워 줘야 합니다. 집이 매도가 되어 임대인이 바뀌어도 그 규칙은 그대로 적용이 됩니다. 즉 새로운 집주인이 거주를 원할 경우 집을 비워 줘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 계약이 만료될 때 집주인이 바뀌는 경우, 새로운 집주인이 들어와서 산다고 하더라도 몇 가지 중요한 권리가 있습니다.
계약갱신청구권은 2020년 7월부터 시행된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세입자는 한 번(2년)의 계약 갱신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집주인이 실거주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면, 세입자는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하여 2년 더 거주할 수 있습니다. 묵시적 갱신은 만약 계약 만료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 집주인이나 세입자가 별다른 통보를 하지 않으면, 계약은 자동으로 2년 더 연장됩니다. 이를 묵시적 갱신이라고 합니다.
새로운 집주인의 권리 승계: 새로운 집주인은 이전 집주인의 권리와 의무를 모두 승계합니다. 따라서 기존 전세 계약은 그대로 유지되며, 새로운 집주인이 들어와도 세입자는 계약 기간 동안 거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집주인이 들어와서 산다고 하더라도, 세입자는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하거나 묵시적 갱신을 통해 계속 거주할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만료일 6개월 이전 집주인이 변경되고, 실거주를 이유로 퇴거를 통보하면 계약갱신청구권 사용은 불가합니다.
6~2개월 이내 임대인이 변경되는 경우 갱신청구권 청구는 유효하고요.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 2년 만기때 집주인이 집을 매도시 새로운 집주인이 들어와서 산다고하면 제가 나가야할수도 있나요?
==> 묵시적인 계약갱신 전이라면 퇴거 대상입니다.
아님 제가 2년 연장을 하고싶다하면 우선권이 누구에게 있을까요?
==> 최근 대법원 판례에 의하면 임대인이 우선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만기 6개월전에서 2개월전 사이에 계약갱신요구권을 사용하여 연장하면 새로운 집주인이 들어와도 임차권을 주장하여 계속거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일 새로운 집주인이 전세만기 6개월전 이전에 입주완료하고 직접거주를 이유로 계약갱신요구권을 거부하면 만기 이후에는 퇴거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새로운 집주인이 언제 등기를 완료하는 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