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법률

가족·이혼

과감한살모사218
과감한살모사218

상속에 대한 법이 개정이 되면 존비속이 없으면 어떻게 되나요?

헌법재판소에서 상속 유류분에 대해 형제자매는 기여도가 없다고 하여 조항을 폐기했는데, 이럴경우 존비속은 없고 형제자매만 있는데 죽으면 내 재산은 어디로 가나요? 설마 국가 귀속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최근 유류분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판결은

    형제자매의 유류분을 인정하는 조항에 대해서 위헌이라고 판단을 한 것일뿐

    기존의 법정상속 순위나 그 범위에 대한 판단은 아닙니다.

    형제자매가 직계비속, 배우자, 직계존속 다음 순위의 상속인이라는 조항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따라서 직계비속이나 직계존속, 배우자가 없는 경우라면

    형제자매가 상속을 받을수 있습니다.

  • 형재자매의 유류분권을 헌법재판소에서 인정하지 못한다고 한 것이어서 유류분청구는 어렵게되었지만 형제자매의 상속권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및 헌법불합치결정이 난 것은 유류분조항이기 때문에 형제자매는 여전히 상속구너이 있어 존비속이 없으면 형제자매가 상속을 받게 됩니다.

  • 기존의 상속 순위에는 관련이 없습니다.

    단순 위헌 결정은 유류분 청구권자로서 형제자매가 안 된다는 부분이지 상속인이 아니라는 취지는 아닙니다.

    지금과 동일하게 위 경우 배우자가 없다면 피상속인의 형제자매에게 상속분이 있습니다.

  • 헌법재판소에서 상속 유류분에 대한 형제자매 조항을 폐기하더라도, 존비속이 없는 경우 형제자매가 상속인이 될 수 있습니다. 민법상 상속의 순위는 제1순위가 직계비속, 제2순위가 직계존속, 제3순위가 형제자매입니다. 따라서 존비속이 없다면 형제자매가 상속인이 되어 재산을 상속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유류분 제도와 관련하여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형제자매의 유류분 권리가 폐지되었다면, 유언이나 증여 등을 통해 형제자매를 제외한 다른 사람에게 재산을 물려줄 수 있게 됩니다. 이 경우, 형제자매는 유류분 반환 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됩니다.

  • 헌법불합치 결정을 한 부분은 형제자매간의 유류분반환에 대한 것이고

    상속에 대해서는 기존과 같이 직계존비속 등이 제외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