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영악한상괭이212
영악한상괭이212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요?

아파트에서 층간소음이 정말 사회적으로 큰 이슈입니다.

개인이 층간소음을 줄이기위한 노력으로 무엇이 있을까요? 정부에서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개인이 할 수 있는 노력으로는 실내에서 슬리퍼나 소음 방지 슬리퍼를 신으면 발걸음 소리를 줄일 수 있어요. 바닥에 카펫이나 러그를 깔면 소음을 흡수하고 충격음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있는 가정에서는 소음 방지 매트를 바닥에 깔아두면 효과적입니다. 가구를 이동할 때는 끌지 말고 들어서 옮기면 소음을 줄일 수 있어요. 벽이나 천장에 방음 패널을 설치하면 소음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정부의 노력으로는 정부는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층간소음 검사에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아파트에 대해 시공사의 보완 공사를 의무화하고, 보완되지 않으면 준공 승인을 내주지 않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기존 주택에 소음 저감 매트를 설치할 경우 최대 300만원까지 융자를 제공하고, 저소득층 가구에는 매트 설치 비용을 전액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500세대 이상 단지에는 층간소음 갈등을 중재하거나 조정하는 주민 자치 조직인 층간소음관리위원회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볼 때 우리나라 아파트는 벽식구조이므로 벽체를 타고 소음과 진동이 전혀지는 구조라서 층간 소음에 매우 취약합니다. 정부에서는 2023년 1월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환경부령 제559호, 국토교통부령 제97호) 제 3조에 층간 소음의 기준의 경우 직접 충격의 경우 1분간 등가 소음도 기준 주간 39dB초과, 야간 34dB 초과, 최고 소음도 기준 주간 57dB, 야간 52dB로 강화하였고 1분간 등가 소음도 기준을 추가로 강화할 예정이지만, 한국환경공단이 2020년 12월부터 2021년 6월까지 20~60대 국민 100명을 대상으로 ‘실생활 층간소음 노출 성가심 반응 연구’를 실시한 결과 현재 주간 직접충격소음 기준(1분 등가소음도)인 43dB에서 실험대상자 30%가 ‘매우 성가심’을 느낀데 반해 세계보건기구(WHO)는 소음으로 인한 성가심 비율을 10% 이내로 관리할 것을 권장하고 있어 여전히 미흡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아이들 있는 집은 바닥에 방진 패드를 깔거나 천으로된 슬리퍼를 신거나 하는 등 각 개인간 소음에 주의하며 사는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에서 층간소음이 정말 사회적으로 큰 이슈입니다.

    개인이 층간소음을 줄이기위한 노력으로 무엇이 있을까요? 정부에서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 층간 소음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서로를 배려하는 마음에서 바닥에 메트를 추가적으로 깔거나 지정된 시간외에는 세탁기 등 사용을 자제해야 합니다. 정부에서도 건축허가기준 중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하여 관련 규정을 강화사키시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정부에서 건설사에게 층간소음 흡입할 수 있는 흡읍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 중에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매트를 까는 것이 지금으로써는 최선이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아이들이 있는집은 매트를 까는것이 가장 효과적일거 같고 어른들은 실내 슬리퍼를 신거나 의자테이블 다리에 패드를 부착하거나 운동할때도 조심해야 합니다

    인테리어할때도 방음벽,바닥재,창호,중문을 해서 소음을 차단하는 방법도 필요합니다

    정부에서도 이웃사이 센터를 운영하고 있어 소음이 심하면 조사를 의뢰해서 받아볼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활용을 잘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개인이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카펫이나 러그를 깔아 발소리를 줄이기

    2. 신발을 벗고 실내화를 신는 등의 습관을 가지기

    3. 음악이나 TV 소리를 적절한 볼륨으로 조절하기

    4. 가구를 이동할 때 주의하여 소음을 최소화하기

    건축법과 주택법을 통해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시행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층간소음은 서로간 조심하지 않으면 개인의 노력만으로 해결되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층간소음의 피해주택에 입장에서는 상대방이 바닥등에 매트를 깔거나 주의를 하지 않으면 소음피해가 줄어들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보통 아랫집등의 층간소음 전파를 최소하기 위해서는 바닥등에 매트등을 설치하거나 늦은 시간에 세탁기. 청소기등의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필요할수 있습니다. 그외 정부에서도 층간 소음이 이웃간 마찰의 원인이되고 각종 강력범죄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최근에는 각 지자체중심의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등을 통해 상담 및 중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만 실질적인 효과는 미미하다는 의견이 많은 편이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