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주택구입부담지수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부동산 가격에 대한 정보를 알기위해서

주택구입부담지수 라는 것이 좋은 정보라고 하는데요

주택구입부담지수의 숫자가 높거나 낮을수록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중위가구 소득, 중간 주택가격, 주택담보대출 이자율 세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지수를 산출하는 것이고, 이는 중위소득가구가 중간 가격의 주택을 구입할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를 나타내게 됩니다.

    지수 100은 중위소득가구가 중간 가격주택으 구입할수 있는 소득의 100%을 보유하고 있다고 의미하고 지수가 100을 초과한 결과치는 중간 가격주택을 구입할수 있는 소득보다 더 많은 소득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반대로 100보다 낮을 경우 중위소득가구가 중간 가격주택을 구입하기에 충분한 소득이 없음을 나타낸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 구입 부담 지수는 가구의 소득 대비 주택 가격을 기준으로 산출되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가구 소득으로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숫자인데 이 지수가 높을수록 주택 구입이 어렵다는 의미가 되고 반대로, 낮을수록 주택을 구입하기 쉽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지수는 여러 요소를 바탕으로 계산되는데, 주로 주택 가격, 이자율, 그리고 가구의 소득 수준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그래서 금리가 오르거나, 집값이 상승하면 자연스럽게 주택 구입 부담 지수도 함께 올라가는 구조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중위소득자 즉 극단적인 높고 낮은 소득자를 제외한 중간소득자들의 중간가격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능력을 말 합니다.

    지수가 100일 경우 중위소득자가 중간가격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소득을 100% 가지고 있다는 말이고,

    지수가 100을 초과할 경우 중위소득자가 중간가격주택 구입을 위한 소득을 100% 이상을 반대로 100 미만일 경우 소득을 100 이하로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구입 부담지수는 "중위소득 가구가 표준대출로 중간 가격 주택구입시 대출상환 부담을 타나내는 지수로 수치가 높으면 높을수록 주택을 구입함에 부담이 커진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지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는 "주택가격, 금리, 가구의 소득입니다. 50을 기준으로 상위 부분은 불경기일때 하위 숫자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호경기를 의미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주택구입부담지수는 부동산 시장의 가격 수준과 구매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숫자가 높을수록 주택 구매가 어려운 환경임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주택구입부담지수가 높다는 뜻은 부담스럽다는 의미고, 대출 갚기가 힘들다는 뜻입니다.

    가장 쉽게 지수가 100이라면 가구 소득의 25%를 주택 담보대출 상환으로 사용한다는 뜻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