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아파트 가격은 왜 떨어지지 않는걸까요?

대부분 아파트 같은 경우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서 수명 자체가 오래 가지 않는다고 들었는데요

부동산 하면 거의 아파트를 생각 하는데

워낙 인구도 줄고 해서 아파트 가격이 떨어질것 같은데 왜? 계속 오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과 수도권이 많이 오르고 있습니다

    서울은 공급이 부족해서 오르고 있고 서울이 공급이 부족하니 수도권까지 영향이 있습니다

    서울의 면적이 좁아서 재개발이나 재건축으로 공급을 늘려야 되는데 규제로 인해 못했고 지금은 모든것이 오르다보니 더욱 공급을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서울도 다오르지는 않고 좋은지역과 새아파트 위주로 오르고 수도권도 새아파트 위주로 오르고 있습니디

    지방과 소도시들은 인구감소로 떨어질수도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젊은이들이 아이를 낳지 않는 문제때문에 흔히들 오해하고 계시는데, 현재 우리나라 인구는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조금씩 이지만 늘고 있는 상태입니다. 물론 앞으로는 출생률이 적으니 줄어들겠지요. 아파트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선호되는 형태의 주거형태이고 특히 통계청 수치상으로 볼때 서울의 아파트 호수는 우리나라 전체의 평균대비하여 부족한 상태이며, 주택보급률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100을 넘어가지만 서울은 93.7로 여전히 부족한 상황입니다. 지방에는 미분양이 날 정도로 공급이 부족하지 않지만 서울은 여전히 주택, 그 중에도 아파트를 찾는 사람이 많아서 잠재적인 수요가 존재하는데 고금리와 경제 위축으로 수요가 억제되고 있다가 최근 월세 전환등에 의한 전세 물량부족으로 인한 전세가상승 그리고 원가 상승 및 건설사 채산성 악화로 인한 분양가 상승에다 금리인하 기대감이 겹치며 수도권위주로 집값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부동산은 특성상 이동이 불가하므로 선호지역의 아파트는 그 숫자도 한정적이고 대체 불가하므로 선호지역 위주로 가격이 올라갈 수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콘크리트 철근구조는 수명자체가 사용,관리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평균 50년정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우리나라가 재건축등을 이유로 빠르게 철거, 개발하는 것이지 콘크리트등이 수명이 짧은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인구가 줄어드는것은 시장에 있어 수요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가격하락요인이 되는건 맞지만, 현재 인구감소가 심각한 나이대들이 실제 부동산 실구매층이 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즉, 천천히 시장에 영향을 주게 되겠지만 매년 그 정도가 커지게 되는 것이고 향후 10~!5년후에는 급격하게 이러한 영향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인구감소에 따른 가격하락등은 현시점에 반영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가격은 건물의 감각상각에 의해서 부동산의 가격이 형성이 되는 것이 아니고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가격이 결정이 됩니다. 인구가 줄고는 있지만 1~2인 가구 급증으로 부동산 수요는 더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환경속에서 공급이 적어지게 되면 아파트 가격은 상승을 하게 됩니다.

    최근 고금의 장기화, 정부의 부동산 규제등으로 부동산 침체기에 있을때는 어느 정도 가격이 떨어졌지만,

    최근 들어 수도권의 공급 부족과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다시금 인기지역 위주로 가격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인구가 줄면 서울과 같은 중심지에 사람들이 몰리게 되고 공급이 부족하면 아파트 가격을 올라가게 되고 반대로 지방의 경우 인구유출이 심하게 되면 아파트 가격은 떨어지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는 일단 관리사무소에서 관리해주시

    때문에 일반 주택에 비해 관리가 잘 되어 있으며

    입지도 주거생활 공간이 잘 확보되어 있어 주택보다 입지조건도 좋습니다.

    따라서 시간이지남에 따라 땅값만 남는 일반 건물보다 감가의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사람들의 선호도가 높기 때문에

    아파트가격은 크게 떨어지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과 수도권은 전국에서 인구 유입이 되고 있기 때문에 가격이 올라갈 것 같습니다.

    이외 지방은 가격이 보합 내지 하락 할 것 같습니다.

    인구가 줄면 양극화가 심화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의 이파트 가격의 상승은 구조적 문제라 봅니다 시장에서는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의거 서울의 고큽부족으로 인한 가격상승이 지속되기 시작했는데 정부의 인위적 규제정책으로 잠시 주춤하다가 다시 보합 내지 상승기류를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의 규제정책과 시장원리가 상호견제하며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으므로당분간 관망하는 자세가 필요하리라 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아파트는 여전히 주거 선호도가 높은 부동산 상품입니다. 그러나 아파트를 지을 수 있는 땅은 한정되어 있어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아파트 수요가 매우 높아 가격이 쉽게 떨어지지 않습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화폐 가치가 하락하면 실물 자산인 아파트의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이러한 정책이 항상 효과적인 것은 아닙니다. 때로는 정부의 규제 완화나 개발 계획 발표 등이 아파트 가격 상승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아파트는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 상품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 목적으로 아파트를 구매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인구가 감소하더라도, 도시 지역에서는 인구 밀도가 높아 아파트 수요가 여전히 높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아파트는 주거 공간으로서의 기본 수요가 항상 존재합니다. 인구가 줄어들고 있지만, 도심 지역이나 인기 있는 지역에서는 여전히 주거 수요가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대부분 아파트 같은 경우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서 수명 자체가 오래 가지 않는다고 들었는데요

    부동산 하면 거의 아파트를 생각 하는데

    워낙 인구도 줄고 해서 아파트 가격이 떨어질것 같은데 왜? 계속 오를까요?

    ==> 아파트 가격이 오르는 곳을 서울지역이고 서울지역 중에서도 "강남 3구, 마용성"같은 단지가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지방같은 곳은 미분양 물건이 점차 쌓여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주거형태이며,

    신축은 커뮤니티와 인프라

    구축은 재건축에 대한 투자 기대감으로 수요가 늘 많아 떨어지지 않는걸로 보입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는 줄고 있지만 대도시나 인기 지역에서는 여전히 주거 수요가 높아서이구요. 새 아파트에 대한 선호가 크고, 교통, 학군 등 생활 인프라가 잘 갖춰진 곳의 아파트는 수요가 꾸준한것 같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