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듬직한개구리90
듬직한개구리90

인구가 줄어드는 지역의 집값은 내릴까요, 올라갈까요?

인구가 계속해서 줄어드는 지역의 집값은 점점 더 내리는 추세일까요, 아니면 인구가 급감하면서 집값이 올라갈 수도 있을까요?

같은 원리로 나라의 인구가 계속해서 줄어든다면 이 또한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가 줄어들면 아무래도 수요가 줄어들게 되니 가격이 내릴 수 밖에 없겠지요. 우리나라의 인구가 줄게되면 전반적으로 가격이 내릴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인구는 약간씩이지만 늘고 있는 상태이며 서울의 경우에는 특정지역에 수요가 몰려서 집값이 계속상승하고 있는 상태 입니다. 앞으로 인구가 줄어들어도 서울과 수도권의 특정지역으로 인구의 쏠림 현상으로 인해 지방과 차별화가 생길 것이고 부족한 인구로 인해 외국인의 유입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생각처럼 그렇게 빠른 변화는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가 줄어드는 지역의 집값은 일반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구가 감소하면 해당 지역의 주택 수요가 감소하고, 이는 주택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나라의 인구가 계속해서 줄어든다면 부동산 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인구 감소로 인해 주택 수요가 줄어들고, 경제 성장이 둔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인구 감소가 항상 부동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특정 지역의 인프라 개선이나 개발 계획 등이 추진되면 해당 지역의 부동산 시장은 상승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구 감소가 진행되는 지역에서는 오히려 인프라와 교통 등이 잘 갖춰진 도심 지역의 주택 수요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구 감소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이론상 인구는 수요의 영향을 주는 요인이기 때문에 인구감소가 심화될수록 수요는 줄고, 그에 따라 가격도 하락하게 되는게 일반적인 구조입니다 다만 인구가 감소는 대세적인 상황이나, 지역에 따른 인구감소율에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방이나 소도시등에서는 인구감소의 효과가 더 가속화되어 주택가격 하락이 나타날수 있고, 대도시나 수도권 특히 서울에서는 아직 인구 유입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인구감소가 당장은 가격에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고 보입니다. 물론 10~20년후 현재 줄어든 아이세대들이 실제 구매층이 되는 시점에서는 수도권이라도 수요부족이 발생할수 있고 그에 따라 가격이 하락될 가능성은 높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요가 몰리는 최상급지는 더욱더 수요가 집중되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아무래도 절대적으로 인구가 줄어드는 지역의 경우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기 보다는 그동안 올랐다면 이제 오르는 것을 멈추고 거래를 하거나 혹은 조금은 낮은 가격으로 거래하게 될 듯 합니다.

    출산율이 매우 낮은 서울의 경우 출산율이 낮더라도 인구의 유입이 상당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동산의 가격은 날로 높아져갔습니다. 지방 소도시의 부동산 가격을 보면 어느정도 파악이 가능하실듯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이미 한국도 인구가 줄어드는 나라입니다.

    다만 급격하고도 예측이 어려운 급감 상황은 아니며 오히려 1인 가구 2인 가구 등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서 아직은 공급보다는 수요가 더 많은 시장입니다.

    그러나 일부 농촌 등에는 빈집이 늘고 있는데 이것은 인구 감소의 영향이 아니라고 할 수 없습니다.

    전체 인구는 감소하지만 대도시의 인구 쏠림은 변동이 없습니다.

    따라서 도농간 인구와 주택수요의 불균형은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대도시 택지 공급은 제한적입니다.

    또 인구는 감소하고 있지만 개인의 소득은 증가하고 통화는 팽창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인구 감소만으로 전반적인 주택 가격의 하락을 예상하기는 어렵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단순한 논리로 인구가 줄면 주택수요가 적어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겠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1~2인 가구가 가구별 점유율이 50%를 넘었다고 합니다 즉 인구를 줄어도 세대는 증가를 하니 부동산 수요는 더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또한 인구가 줄면 서울 수도권의 경우 더욱더 인구밀도가 높아져서 부동산 수요가 더 높아지고 서울 수도권 집값은 계속

    상승을 하고 지방은 인구유출이 심해서 부동산 가격이 하락을 하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가 줄어드는 지역, 대표적으로 시골과 지방의 경우 당연히 더 내리는 추세입니다.

    다만 정부의 정책으로 인해 기업의 유치 및 교통의 발달로 인구가 늘어나면 당연히 수요의 증가로

    집 값이 다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감소는 주택가격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그 시례로 지방대학 출신자가 고향을 등지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하여 수도권으로 진출하는 한 지방인구는 감소되어 신규 분양야파트 마져 미분양 사태를 워발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전국적 인구감소 문제는

    먼 훗날의 문제입니다

    앞으로도 수도권 인구집중 현상이 개선되지 않는 한

    공급부족으로 인한 수요자의 증가로 아파트 가격은 지속적 으로 상승할것으로 예측합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가 줄어든다면 부동산 가격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수요가 없으면 거래가 되지 않기 때문

    입니다.

    하지만 서울이나 수도권의 경우, 인구가 줄면

    오히려 인구가 더 집중되어 가격이 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가 줄어드는 지역은 집값 상승은 둔화 될 것 같습니다.

    인구가 늘어나는 지역이 가격 상승이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가 계속해서 줄어드는 지역의 집값은 점점 더 내리는 추세일까요, 아니면 인구가 급감하면서 집값이 올라갈 수도 있을까요?

    같은 원리로 나라의 인구가 계속해서 줄어든다면 이 또한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 걸까요?

    ==> 인구가 감소한다면 도시와 농촌간 주택가격에 차이가 발생되고 시골에는 빈집이 증가되지만 생활수준이 높아 짐에 따라 대도시 위주로 주택수는 증가되는 것이 일반적이여서 서울 중심으로 집값은 상승할 것으로 봐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가 줄어들어도 공급이 그리 많지 않다면 집값이 많이 내리지는 않겠지만 공급도 많고 인구감소까지 있다면 내려갈수밖에 없습니다

    인구가 줄어든다해도 중심지는 더비싸질수 있습니다

    지방과 소도시들이 문제가 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가 줄어드는 지역은 대체로 수요가 감소하면서 집값이 내려가는 경향이 많아요. 인구가 줄어들면 집을 찾는 사람이 적어져서 수요 공급 원리에 따라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요. 우리나라도 시골의 집값변동추이를 보면 그리 크게오르지않음을 알게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