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을 구입을 할때 어느정도로 준비를 하고 구입을 하는 건가요?
집을 구입을 할때 주담대를 받아서 많이 구입을 하시잖아요 근데 그런 주택을 구 입을 할때는 주택 가격에 몇퍼센트 정도를 준비를 해두고 구입을 하시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을 구매할 때에 어느정도 준비에서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대출원리금이 월소득의 30%가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부부합산 500만원 기준으로 약 170만원에서 180만원이내에서 지출될 수 있도록 한 부동산의 가격을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경기 수도권 기준으로 처음 부동산은 대략 6억원 이내의 부동산을 구매하시는 것이 좋지만 개인의 사정마다 다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사람마다 다 달라서 일반화하여 몇%라고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본인이 대출을 받고 이자를 내며 상환할 수 있는 정도내에서 잘 계획을 짜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한 주택을 구매할때 대출을 풀로 받을수 있는 한도는 주택가격 대비 70%입니다. 쉽게 LTV70%가 한도인데, 생애최초의 경우는 80%까지 가능은 합니다. 문제는 개별 연소득과 부채에 따라 DSR,DTI가 제한되어 있기에 실제 대출한도는 위비율만큼 나오는 경우가 많지는 않습니다. 평균적으로 취득시 비용과 대출을 고려하면 주택가격의 60%정도가 대출로 자금조달이 가능하면, 나머지 40%정도는 현금을 보유하시거나 주담대 외 방법으로 자금을 조달할수 있어야 안정적인 취득과 유지가 가능하다 판단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대출이 없이 집을 구입하면 좋지만 보통 40~50%대출을 받아서 구입합니다
집값이 비싸다보니 대출을 안받고 살수가 없어서 요즘은 젊은층들이 영끌을 한다고 합니다
되도록 집값을 60~70%정도 모아놓고 구입을 하면 더 안정적이기는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은 대략 70%한도에서 내어 줍니다.
하지만 개인 신용 및 소득에 따라 DSR40% 즉 소득대비 대출원리금상환능력을 보고 한도를 측정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집을 매매할 때 본인의 사정을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인 직장인 기준으로 집값 대비 30프로 이상 대출을 받으면 무리해서 대출받는거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집을 구입을 할때 주담대를 받아서 많이 구입을 하시잖아요 근데 그런 주택을 구 입을 할때는 주택 가격에 몇퍼센트 정도를 준비를 해두고 구입을 하시는 건가요?
==> 주택을 구입하는 분의 경제적인 여건, 구입을 하기 위한 주택의 가격 등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아무리 적어도 30~40% 정도는 있어야 원활하게 진행가능할것으로 보입니다.
너무 빠듯하게 진행하면 자칫 예기치 못한 문제가 있을때 대처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