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Youangel
Youangel

월급이라는 개념은 언제부터 생겨난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회사에서나 공공기관에서는 월급이라는 것으로 임금을 주는데요. 왜 일급이 아니라 월급으로 계산을 하는 것인지? 언제부터 이런 유래가 나타난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산업화가 진행된 19C 무렵부터 월급개념이 도입되었다고 하는데요,

    당시에는 급여 행정의 효율성과 사무 중심 직무 특성이 결합된 결과로, 고용주와 경영·재무 조직의 편의에 따라 도입된 제도라고 합니다.

    한편, 이와는 별개로 성과나 시간 측정이 어려운 직종에서 월급제가 주된 보상 방식으로 자리잡았다고 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유래라기 보다는 임금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매월 고정적인 임금을 지급하기로 관행화 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

    월급이나 일급, 시급 등 다양한 급여형태가 있으며 언제부터 정해졌다고 하기에는 정확히 알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희곤 노무사입니다.

    구체적인 역사적 유래에 대해서는 모르겠으나 우리나라 근로기준법은 월1회 이상의 정기지급원칙을 정하고 있어

    통상적으로 월급을 사용하기는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월급이라는 개념은 산업혁명 이후 노동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일정한 기간 동안의 근로제공에 대해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이 등장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

    월급은 회사나 기관이 급여 처리를 간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해줍니다. 매일 급여를 지급하려면 매번 계산과 지급, 기록이 필요해 관리가 비효율적이지만, 월 단위로 묶으면 이런 절차를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월급을 사용하면 급여 예측 및 자금 흐름 관리가 쉬워지고, 행정 부담이 감소합니다.

    조직에서 지속적인 업무를 맡은 직원에게는 하루하루의 단순 보상보다는, 한 달 단위로 업무성과와 책임을 묶어서 평가·보상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월급은 책임 있는 직위와 장기적 성과를 장려하는 방식입니다.

    현대 사회의 많은 국가에서는 법률로 급여 지급 기준과 주기를 정해두는 경우가 많으며, 대기업·공공기관 등의 관행도 장기적으로 자리잡혀 있습니다.

    월급제의 역사와 유래에 대해 설명하자면

    고대(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등)에는 임금이 곡물, 소금처럼 현물로 주어지거나, 일급 형태로 주어지는 것이 흔했습니다. '임금(salary)'이라는 단어 자체가 로마 병사들에게 지급된 소금(salarium)에서 유래했을 만큼, 현물 지급과 일급제의 흔적이 오랫동안 남아 있었습니다.

    그 후 18~19세기 산업혁명 이후, 공장제와 근대적 대규모 고용이 보편화되며 일급, 주급, 월급 등이 제도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대기업, 정부기관, 전문직 등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고용 구조에서는 월 단위 급여가 점차 주류를 이루게 되었습니다.

    20세기 이후 기업의 행정관리 효율화, 법적 규정, 금융거래의 발전(정기적 계좌이체 등)과 함께 월급제가 대부분의 조직에서 보편화되었습니다. 주로 파트타임, 단기 노동에서는 일급·주급, 장기적·정규직에서는 월급이 표준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노성균 노무사입니다.

    과거에는 주로 일당이나 시급 개념으로 임금이 지급되었으나

    근로자들의 임금 불안정을 해소하고, 급여를 체계화시키기 위해 월급제가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주 도입시점은 90년대 초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