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주택과 아파트의 면적차이에 대해 궁금합니다.
일반 단독주택의 경우 아파트에 비해서 같은 평형이더라도
실제 면적이 차이가 나던데요.
왜 이런 차이가 나는것인가요?
예를 들어 주택의 면적이 50평이라고 하면 아파트에서는 몇평정도의 크기가 되는지
어떤 공식이나 산출기준같은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 주택(단독주택)과 아파트의 면적 차이는 면적 산출 기준에서 오는 차이로, 단독주택은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계산되는 반면, 아파트는 전용 면적과 공용 면적을 구분하여 계산하기 때문에 같은 평수라도 실제 사용 가능한 면적은 달라질 수 있다고 합니다
단독주택은 외벽까지 포함된 전체 면적이 50평이라면, 아파트는 전용 면적이 40평에 공용 면적이 더해져서 50평으로 표기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파트 50평은 실제 사용 공간이 40평 정도일 수 있고, 단독주택 50평은 실제 사용 공간이 50평에 가까울 수 있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의 경우 벽안쪽에서 치수를 계산하는 안목치수를 적용을 해서 같은 공간이라고 평수로는 적게 나오고
주택의 경우 벽 바깥쪽부터 치수를 계산하는 중심선치수를 적용을 하면 같은 공간이라고 평수가 크게 나옵니다.
또한 아파트의 경우 서비스면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택 50평일 경우 같은 공간일 경우 아파트는 그보다
작은 평수일 확률이 큽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일반 단독주택의 경우 아파트에 비해서 같은 평형이더라도
실제 면적이 차이가 나던데요.
왜 이런 차이가 나는것인가요?
==.관행적으로 사용하는 평형대에서 오는 차이라고 할 수 있지만 전용면적은 동일한 크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택의 면적이 50평이라고 하면 아파트에서는 몇평정도의 크기가 되는지
어떤 공식이나 산출기준같은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 전유면적 비율을 가지고 판단되는 만큼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의 경우 보일러실과 세탁실 등 다용도 실도 면적을 차지하지만 아파트의 경우 앞뒤 발코니는 서비스 면적으로 실 평수에 들어가지 않으므로 아파트가 주택보다 면적이 넓게 나올 수 있습니다. 또한 아파트의 경우 면적 계산시 벽체 내부 기준으로 측정하지만 단독주택의 경우에는 벽체 중심선 기준으로 측정하므로 아파트의 실 면적이 더 넓게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일반 단독주택과 아파트는 같은 평형이라도 실제 체감 면적이 차이가 납니다. 이는 공용면적 포함 여부 때문인데 아파트는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주차장과 같은 공용면적이 포함된 공급면적으로 표시되지만 단독주택은 실제 건물이 차지하는 면적만 계산됩니다.
단독주택은 테라스나 마당, 옥상 같은 추가 공간이 많아 실내 공간만으로 비교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아파트는 공용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관리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난방이나 단열 등 건축 방식에 따라 체감 면적이 달라질 수도 있으므로 단순히 평수만 비교하기보다 실내 활용 면적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하세요!
면적은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 있습니다.
첫번째로 아파트는 발코니확장이라는게 있습니다.
발코니 면적은 서비스면적이라 실제 건축물대장에 표기되지 않는 면적입니다.
어디에도 나와 있지 않은 면적이라 지역마다 아파트마다 다르지만 대략 전용59(20평형대)의 경우 5평 내외가 실면적으로 플러스 됩니다.
두번째로 아파트의 구조가 주택보다 좋습니다.
아파트는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면서 해당 면적에서 뽑을 수 있는 최적의 구조(주로 판상형이라고 불리우는)를 가집니다.
같은 면적이라도 구조에 따라서 집이 조금 더 넓어보이고 좁아보이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주택과 아파트의 면적차이가 나는 이유는 서비스 면적의 차이입니다.
아파트는 발코니가 서비스 면적이라 최근 신축아파트는 기본적으로 확장형으로 나오기 때문에 일반 주택에 비해 동일한 크기여도 넓을 수 밖에 없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