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진리의 샘
진리의 샘

바닷밑 광석을 얻기 위한 심해 채굴! 경제성이 있나요?

태평양 한가운데서 골드러시와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바다 밑 광석을 얻기 위한 경쟁, 바로 심해 채굴입니데요. 심해 채굴 경제성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심해 채굴에서는 수심 4000∼6000m 심해저에서 주로 발견되는 검은 덩어리인 망간단괴가 단연 핵심입니다.

    망간단괴에는 망간, 코발트, 니켈, 구리 등 40여종의 금속이 뭉쳐져 있으며 전 세계 심해에 약 1조7000억t의 망간단괴가 존재한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2차전지 등의 수요가 늘어난 최근 망간단괴에 들어 있는 희토류와 희귀금속에 주목하는 이유는 어머어마한 경제적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지만 또한 환경적인 문제로 반대의 목소리 또한 큰 편입니다.

    만일 환경적인 문제가 해결된다면 심해광물 채굴로 많은 경제적 이익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심해 채굴 경제성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심해채굴을 과도하게 할 경우 생태계를 파괴하게 되고 경쟁이 심화되면 국가간 갈등이 많이 생길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심해 채굴은 기존의 육지 채굴과는 다른 환경적 제약이 있고, 수심이 깊어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심해 채굴은 경제적으로 유망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들이 얽혀 있습니다.

    경제성 측면에서는 심해 채굴이 지상 채굴보다 더 경제적일 수 있습니다. 심해에는 전기차 배터리와 같은 신산업에 필요한 니켈, 망간, 코발트 등의 광물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해에서 니켈 1톤을 채굴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인도네시아 열대우림에서 같은 양의 니켈을 얻을 때보다 훨씬 적습니다. 이는 심해 채굴이 지상 채굴보다 환경적으로도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하지만 환경적 영향도 고려해야 합니다. 심해 채굴은 해양 생태계를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파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심해 생물들은 어둡고 조용한 환경에 적응해 왔기 때문에, 채굴로 인한 소음과 빛 공해는 매우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채굴 과정에서 발생하는 퇴적물이 해양 생물들을 질식시키거나 산호와 같은 해면 생물의 터전을 망가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해 채굴의 경제성은 높지만,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규제와 기술 개발이 필요합니다. 심해 채굴이 실제로 경제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법이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경제성은 채굴하는 곳의 매장량, 자원의 종류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즉, 각 입지마다 경제성에는 차이가 있고 무조건 심해 채굴이라고 경제성이 보장되거나, 반대로 무조건 경제성이 없다 판단할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심해 채굴은 경제성이 있는지 없는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뉴스를 보면 시추에 대한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어가는데 아직 알 수 없는 부분들이 많아 실체 뚫어 봐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사실 막상 뚫었는데 엄청난 자원이 나온다면 나라 자체가 잘 살 수 있으나 만약 경제성이 부족하고 광물 자체도 부족하면 그 많은 돈을 날리게 되는 것입니다. 세금낭비죠.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태평양 한가운데서 골드러시와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바다 밑 광석을 얻기 위한 경쟁, 바로 심해 채굴입니데요. 심해 채굴 경제성이 있을까요?

    ==> 우선적으로 매장량, 심해의 깊이 등을 고려하여 경제성여부를 판단한 후 진행하게 됩니다. 그러나 심해인 경우 경제성 면에서 많이 떨어져 채굴을 포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