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밑 광석을 얻기 위한 심해 채굴! 경제성이 있나요?
태평양 한가운데서 골드러시와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바다 밑 광석을 얻기 위한 경쟁, 바로 심해 채굴입니데요. 심해 채굴 경제성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심해 채굴에서는 수심 4000∼6000m 심해저에서 주로 발견되는 검은 덩어리인 망간단괴가 단연 핵심입니다.
망간단괴에는 망간, 코발트, 니켈, 구리 등 40여종의 금속이 뭉쳐져 있으며 전 세계 심해에 약 1조7000억t의 망간단괴가 존재한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2차전지 등의 수요가 늘어난 최근 망간단괴에 들어 있는 희토류와 희귀금속에 주목하는 이유는 어머어마한 경제적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지만 또한 환경적인 문제로 반대의 목소리 또한 큰 편입니다.
만일 환경적인 문제가 해결된다면 심해광물 채굴로 많은 경제적 이익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심해 채굴 경제성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심해채굴을 과도하게 할 경우 생태계를 파괴하게 되고 경쟁이 심화되면 국가간 갈등이 많이 생길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심해 채굴은 기존의 육지 채굴과는 다른 환경적 제약이 있고, 수심이 깊어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심해 채굴은 경제적으로 유망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들이 얽혀 있습니다.
경제성 측면에서는 심해 채굴이 지상 채굴보다 더 경제적일 수 있습니다. 심해에는 전기차 배터리와 같은 신산업에 필요한 니켈, 망간, 코발트 등의 광물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해에서 니켈 1톤을 채굴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인도네시아 열대우림에서 같은 양의 니켈을 얻을 때보다 훨씬 적습니다. 이는 심해 채굴이 지상 채굴보다 환경적으로도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하지만 환경적 영향도 고려해야 합니다. 심해 채굴은 해양 생태계를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파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심해 생물들은 어둡고 조용한 환경에 적응해 왔기 때문에, 채굴로 인한 소음과 빛 공해는 매우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채굴 과정에서 발생하는 퇴적물이 해양 생물들을 질식시키거나 산호와 같은 해면 생물의 터전을 망가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해 채굴의 경제성은 높지만,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규제와 기술 개발이 필요합니다. 심해 채굴이 실제로 경제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법이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야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경제성은 채굴하는 곳의 매장량, 자원의 종류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즉, 각 입지마다 경제성에는 차이가 있고 무조건 심해 채굴이라고 경제성이 보장되거나, 반대로 무조건 경제성이 없다 판단할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심해 채굴은 경제성이 있는지 없는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뉴스를 보면 시추에 대한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어가는데 아직 알 수 없는 부분들이 많아 실체 뚫어 봐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사실 막상 뚫었는데 엄청난 자원이 나온다면 나라 자체가 잘 살 수 있으나 만약 경제성이 부족하고 광물 자체도 부족하면 그 많은 돈을 날리게 되는 것입니다. 세금낭비죠.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태평양 한가운데서 골드러시와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바다 밑 광석을 얻기 위한 경쟁, 바로 심해 채굴입니데요. 심해 채굴 경제성이 있을까요?
==> 우선적으로 매장량, 심해의 깊이 등을 고려하여 경제성여부를 판단한 후 진행하게 됩니다. 그러나 심해인 경우 경제성 면에서 많이 떨어져 채굴을 포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