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탁월한저빌80
탁월한저빌8021.12.19

포괄임금계약시 초과근무시간 기재 문의

안녕하세요.

포괄임금계약을 하고자 할때 하기의 상황인 경우 계약서에 연봉에 포함된 초과근무시간을 몇시간으로 기재해야하는지 문의드립니다.

주5일 근무, 10시간근무(일 근무시간 8시간 + 추가근무시간 2시간), 주 10시간 초과근무발생

한 달을 4주로 보면 40시간의 초과근무시간이겠지만.. 월소정근로시간은 209시간으로 정해져있어 헷갈리네요. 답변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영노무사입니다.

    월 평균 연장근로시간 수는 1주 연장근로시간 수 * 월 평균 주수 4.345로 산정합니다.

    따라서 질의와 같이 1주 10시간의 연장근로가 발생하는 경우 월 평균 연장근로시간은 43.45시간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슬기노무사입니다.

    소정근로시간의 경우, 산정시에 1 개월을 4.345주를 기준으로 반영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365일/ 7일/ 12 개월)

    포괄임금제로 산정시 고정적으로 주 10시간의 연장근로가 발생하는 경우라면, 10시간x 4.345주로 고정연장근로시간 및 수당을 산정하시어 반영하시는 것이 적합해보일 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건우 노무사입니다.

    209시간의 소정근로시간에는 주휴시간이 포함되어 있어서 혼동이 되시는 것 같습니다.

    일 2시간의 초과근로가 매주 발생한다면,

    소정근로시간과 별도로 초과근로시간을 매주10시간 또는 매월40시간으로 기재해주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포괄임금제 형태의 임금계약이 유효하기 위하여서는 임금구성항목과 그 계산방법 등을 명확히 기재하여야 합니다.

    이때, 해당 근로자의 월 소정근로시간은 209시간이고, 고정 연장근로시간은 월 43.5시간(=2시간X5일X4.3452주)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

    1달은 평균 4.345주(365일/7일/12월)이므로, 1주간 10시간의 연장근로가 발생하는 경우라면 1달 연장근로시간은 43.45시간(10시간x4.345주)으로 기재하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성현노무사입니다.

    근로계약서에는 연장/휴일근로시간을 1주 단위로 기재하시면 됩니다(ex. 연장/휴일근로: 1주 10시간). 급여 계산 시 1주 연장/휴일근로시간에 한달의 평균주수(365/12/7)를 곱하시면 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한달은 4주가 아니고 평균 4.345주입니다. 월 소정근로시간은 주휴시간(1주 8시간)을 포함하여 월 4.345주로 계산해서 나온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권병훈 노무사입니다.

    포괄임금계약을 하고자 할때 하기의 상황인 경우 계약서에 연봉에 포함된 초과근무시간을 몇시간으로 기재해야하는지 문의드립니다.

    209시간은 주휴포함 48시간기준4.345 주계산입니다.

    주10x4.345x1.5 = 65.175시간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월 통상임금 산정기준시간수=(50+10×0.5+8)÷7×365÷12=274

    초과근무시간=274-209=65


  • 안녕하세요. 차충현노무사입니다.

    1주 10시간 연장근로가 발생할 경우에는 월 연장근로시간은 "10시간*4.345주(365일/12개월/7일)= 43.45시간"입니다. 이 때, 연장근로수당은 1.5배를 가산한 수당으로 지급해야 하는 바, "43.45시간*1.5*통상시급"만큼을 연장근로수당으로 책정하여 월급여에 포함하여 지급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