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3.16

근로기준법상 퇴사 후 퇴직금은 지급기한이 언제까지인가요?

친구가 제조업 회사 1년 5개월 다니다가 몸이 아파서 그만둔 상태입니다.

원래 퇴직하면 바로 주는 거 아닌가요?

2개월째 퇴직금이 들어오지 않았다고 합니다.

법적으로 언제까지 사용자는 지급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별도의 기일연장에 대한 합의가 없다면 퇴직금은 근로자 퇴사일 기준 14일 이내에 지급되어야 합니다. 14일이 지나고도

    지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퇴직금 체불에 해당하여 사업장 관할 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또한 14일 이후부터는

    지연일수에 대해 지연이자(20%)가 발생하여 청구가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

    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

    [질의]

    원래 퇴직하면 바로 주는 거 아닌가요?

    2개월째 퇴직금이 들어오지 않았다고 합니다.

    법적으로 언제까지 사용자는 지급해야 하나요?

    [답변]

    아래 법에 의거하여,

    사용자는 근로자의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해야합니다.

    위반 시 동법 제109조에 따라 벌금이 부과됩니다.

    [관련법령]

    - 근로기준법 제36조(금품 청산)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의 모든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

    - 근로기준법 제109조(벌칙) ① 제36조, 제43조, 제44조, 제44조의2, 제46조, 제51조의3, 제52조제2항제2호, 제56조, 제65조, 제72조 또는 제76조의3제6항을 위반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추천'과 '좋아요👍 '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가 퇴직하는 경우 톼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다만, 노사 합의에 따라 지급기일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와 지급기일 연장에 합의한 바가 없다면, 원칙적으로 퇴직일(마지막 근로일의 다음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퇴직금이 지급되어야 합니다.


    회사 측에서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는다면, 사업장 주소지 관할 노동청에 신고(진정, 고소)하여 권리구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사용자는 퇴직일부터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태화 노무사입니다.

    근로자가 사업장을 퇴사한 후 14일 이내에 모든 금품은 청산하도록 근로기준법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2개월 이상 지급하지 않은 것은 임금체불에 해당하므로 사업장에 퇴직금 지급요구를 강력하게 하시고

    그래도 지급하지 않는다면 관할 고용노동부에 진정을 제기하여 권리구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차호재 노무사입니다.

    근로기준법 상, 퇴직금을 포함하여, 퇴직 사유 발생일로부터 14일 이내로 금품청산이 완료되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노성균 노무사입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퇴직 이후 14일 이내로 퇴직금이 지급되어야 합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 및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사용자는 근로자 퇴직 후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노동청에 신고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퇴직 후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특별한 사정(당사자간 합의)이 없는 한 회사는 근로자가 퇴사한 때로부터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해야 합니다(근로기준법 제36조).


  •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

    근로기준법상 퇴직금증 금품은 근로관계 종료 후 14일 이내에 지급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반하면 임금체불에 해당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노사 당사자간에 지급기일 연장에 관한 특별한 합의가 없다면, 근로자가 퇴직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