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빠른정보
빠른정보

월세와 반전세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이번에 윤정수가 신혼집에 들어갓는데 반전세라고하는데 사실상 월세라는데요 월세와 반전세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똑같은건 같은데요 차이를 비교해서 잘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와 반전세는 사실상 동일한 월세입니다. 임대차에서는 보통 전세와 월세를 구분할뿐 반전세는 실무상 보증금이 월세보다는 높고 전세보다는 낮은 상태를 흔하게 부르는 표현이지 임대차의 종류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반전세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전세계약을 체결하고 거주하던 중 재계약등을 할때, 보증금에 대한 인상이 어려운 경우 인상분만큼을 월세로 전환하여 부담하는 재계약에 대해서 반전세라는표현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억단위의 보증금을 부담하고 월세는 낮게 계약하는 임대차를 통칭하여 반전세라고 표현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1명 평가
  • 이번에 윤정수가 신혼집에 들어갓는데 반전세라고하는데 사실상 월세라는데요 월세와 반전세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똑같은건 같은데요 차이를 비교해서 잘설명해주세요

    ==> 큰 차이점은 보증금 규모 및 월세 액수를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즉 반전세는 월세와 전세의 중간형태라는 점이고 이러한 경으 월세보다 보증금 규모가 크지만 매월 월세를 부담하는 규모도 적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반전세와 월세는 형태가 거의 유사합니다만, 보통 반전세는 보증금이 월세에 비해 크고 (보통 월세 20년치 보다 보증금이 크면 반전세로 간주합니다.)전세의 변형이므로 계약기간 집을 완전히 임차하므로 보일러나 벽지 같은 주요한 항목이 아닌 전등이나 도어록 건전지 교체 등은 임차인이 스스로 구매, 교체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이는 특약으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반면 월세는 상대적으로 보증금이 적은 편이고 집을 빌리는 개념이 강해서 간단한 수리 비용도 모두 임대인이 부담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와 반전세의 경우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월세의경우 보증금이 비교적 소액이고 월 납부액이 많은 경우를 통상 월세라고 표현을 하고

    반전세의 경우 전세보증금보다는 적고 그래도 꽤 큰 금액의 보증금에 조금의 월세를 내는 형식이라 어떻게 보면 반전세도 월세라 보시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원래 반전세라는것은 없습니다.

    임대차는 월세가 있고 월세가 0원인 임대차를 전세라고 부르는것입니다.

    그러니 월세가 조금이라도 있으면 월세가 됩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편의상 보증금이 높고 월세가 낮은 임대차를 반전세라고 부르는것입니다.

    예, 보증금 2억에 월세 20만원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둘 다 똑같은 월세입니다.

    다만 보증금이 일반 월세보다는 높은 가격이니

    전세금의 절반/ 월세의 절반 정도 형성되어있는 월세를 반저세라고 부릅니다.

    추가 궁금하신 사항 있으실가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와 반전세는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보증금과 월세의 비율이 다르고, 임차인의 부담 방식도 다릅니다

    ,월세

    보증금: 1,000만 원

    월세: 60만 원

    매달 60만 원을 내면서 살고, 퇴실 시 보증금 1,000만 원을 돌려받고 이사를 하게 됩니다

    ,반전세

    보증금: 5,000만 원

    월세: 20만 원

    전세처럼 큰 보증금을 걸고, 대신 월세는 소액만 내고 퇴실 시 보증금은 돌려받습니다

    둘다 월세인데 보증금에 따라 편의로 월세,반전세라고 표현을 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반전세는 보증금을 전세보다 적게 내고 나머지 일부 금액을 월세로 내는 임대차 형태로 보증금이 월세의 240배보다 많으면 반전세로 구분됩니다.

    반면 월세는 보증금이 상대적으로 적고 매달 임대료를 내는 방식이며 보증금이 월세의 10배 내외로 보통 낮습니다. 즉 반전세는 보증금 규모가 크고 월세가 적은 구조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