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부동산 경기는 어떻게 되가고 있을까요?
요즘 부동산 경기는 어떻게 되가고 있을까요? 부동산이 요즘에는 큰 기대도 없고 모두 똘똘한 1채로 서울로 몰리는 경향이 있는거 같아서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자님이 생각 하신대로 부동산경기가 좋지 않고 똘똘한 한채때문에 서울의 좋은 지역만 올라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더군다나 토지거래 허가지역이 해제되는 바람에 그런곳들만 관심이 있고 매도자들은 가격을 많이 올리고 있습니다
시간이 갈수록 지역적 편차가 더심해질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한국 부동산 시장은 지역별로 상이한 동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은 주택 매매 가격 상승과 거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지방의 경우 공급 과잉과 인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인해 가력 하락과 거래 부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양극화 상황은 앞으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서울의 경우에도 아파트 거래량이 상승하는 분위기로 보이기는 하나 이는 특정 지역에 한정된 결과로,
전체적인 분위기 자체는 여전히 좋지 못한 상황인 것은 맞습니다. 실수요자 중심으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고,
신축 아파트에 한해서만 이러한 분위기가 보이고 있습니다.
지방의 경우 준공 후 미분양 건수도 늘어나고 있어 부동산 시장은 점점 더 악화가 되고 있는 상황이라,
회복을 기대하기에는 여전히 의문인 상태 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는 지역과 주택유형에 따라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만큼 수요가 몰리는 지역과 매물에는 더욱더 수요가 집중되고 그외 지역은 수요가 크게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추세적인 인구감소와 수도권 외 지방의 소멸화가 원인으로 볼수 있고 거기에 부동산 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이러한 양극화는 더욱 심화되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예전처럼 다주택을 보유함으로써 발생하는 시세차익 및 임대수익의 확보가 지금은 어려워진 상황이고, 오히려 똘똘한 한채를 보유함으로써 발생하는 시세차익이 더 효과적이라는 판단이 지배적인것도 이유가 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부동산 경기는 아직 하락 추세에 있으며 선행지표인 건설 경기 또한 악화되고 있어 회복 추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방 및 수도권내에서도 가격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입지좋은 똘똘한 집한채 전략이 유효해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고금리의 장기화, 정부의 규제, 대출규제로 인해서 한마디로 부동산 침체기 입니다.
대출이자가 높게 형성이 되어 매도 매물이 쌓이게 되고 매수세가 없어서 가격은 점점 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속에 똘똘한 한채의 경우 더욱 귀한 현상이 되어 똘똘한 한채만 가격이 올라가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하반기 스트레스 DSR3단계의 강력한 대출규제가 시행이 될 경우 부동산 추가 하락이 예상이 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부동산 경기가 회복이 되기 위해서는 금리가 하락을 하고,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완화가 되고, 특히 대츌규제가 완화가 되어야 바닥을 치고 반등을 하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엄정국하에 경제는 혼돈하고 불안하면 투자의욕이 위축되어 부동산가격이 보합내지 하락하게 됩니다
현재 지방 신규 분양시장 동향은 미분양사태가 전반적으로 증가하여 부동산가격이 하락 추세이며 서울도 일부지역은 매도 물건이 쌓여어도 거래가 중단되는 지역별 차별화가 잔행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주택담보 대출 규모를 계속 줄이는 스트레스 2-3단계로 규제하거나 규제예정이다 보니 잠재적 수요충은 증가하나대출규모애 막혀 가격은 하락세를 유지합니다 그러나 강남3구 등은 투자자금이 넘쳐나고 담보대출 규제와는 아무런 영향을 벋지 않고 거래가 왕성하여 똘똘한 한채로 자산을 증식하고 있다고 봅니다
더구나 26년도 공급 물량의 급격한 검소통계치를 예측하여 거래가 서서히 살아나고 있숩니다
따라서 25년도 하번기와 26년도 상반기까지 부동산 추세를 당분간 관망하면서 투자시기를 판단할 것을 권장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요즘 부동산 시장은 직전 상승에 대한 피로감과 환율 급등, 정치적 불안정으로 서울 핵심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보합 내지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인구가 줄어듬에 따라 지방의 인구가 서울 및 수도권으로 쏠림현상이 심화되고 그로 인해 지방의 인프라는 유지가 어려워 앞으로 똘똘한 한채 프레임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서울은 방어력이 좋은데 지방이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습니다.
올7월 스트레스DSR3단계 도입되면 서울도 무너질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고금리가 계속되고 있고 정부의 대출 규제와 경제상황의 악화 등으로 아파트 가격이 정체된 상태이며 전세가 상승도 주춤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으로 관세장벽과 세금삭감등이 진행되면 향후 물가상승으로 금리인하가 쉽지 않아 보이는 점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택 공급부족과 집값 인상에 대한 기대심리, PF대출 부담으로 인한 건설사들의 분양가 인상 등으로 올해 하반기에는 집값이 상승할 것으로 많은 전문가들이 예측하고 있습니다. 다만 상승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으며 서울과 수도권에 국한 되고 지방은 오히려 하락을 예측하는 사람들도 많은 실정입니다. 이는 금리, 환율, 경제상황의 변화 그리고 정부의 부동산 정책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