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직장내괴롭힘

심각한때까치97
심각한때까치97

업무 과다로 힘들다 수차례 요청 했으나 해결 되지 않았고 매번 업무에 걸리는 시간으로 트집을 잡습니다 신고 되나요?

출근하고 하루 근무 시간표에 시간별로 할 일을 적어 제출하고 그 사이 사이 당일에 받은 업무들도 처리하며 퇴근 땐 시간 별로 진행된 사항 기입하여 제출했었습니다. 신규 직원들에겐 이 보고를 안 시켰고 작년 본인을 사내 직장내 괴롭힘 식으로 언급한 직원들에게만 일과표 제출을 하라고 했으며 항상 이 업무가 왜 이렇게 오래 걸리냐 태클을 걸었습니다. 하루종일 화를 내고 짜증을 내서 두세차례 기분 나쁜게 있으면 얘기하시라고 하니 자기를 욕하고 나와서 앞으로 웃으며 말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업무가 너무 많아 점심시간에도 일한적이 많고 화장실 한번을 못간날이 많았습니다. 업무 조정 해주겠다고 한지 몇달이 지났으나 일은 더 많아진 상태고 여전히 업무를 진행하면 시간이 왜 이런식으로 걸리냐 하며 트집을 잡고 그럴거면 이 업무를 안 해야한다 하길래 그럼 안 해도 되는 업무냐 물으면 그건 또 아니라고 합니다. 업무를 주면 업무 처리 시간에대해 생각해달라 여러번 요청 했는데도 퇴근 직전 일을 주거나 이미 업무가 많은 상황에서 오늘까지 마감해야한다며 새 업무를 더 주는 등 괴롭히려고 이런다는 생각만 듭니다. 다른 직원들도 그래 보인다고 말을 했구요. 최근 직원들이 연달아 퇴사를 하며 증인을 해줄 사람은 없고 근무 당시 주고 받으며 했던 대화 속에는 관련 내용들이 있습니다. 이것도 신고할 때 증빙 자료로 인정이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심증만으로는 직장 내 괴롭힘이 성립되기 어려우며,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는 행위를 한 사실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가 충분히 확보된 경우에는 직장 내 괴롭힘으로 신고하여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1. 질문주신 내용을 고려하였을 때 직장 내 괴롭힘에 관한 검토가 필요해 보입니다. 보다 구체적인 사실관계 확인이 필요하긴 하나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2. 관련 내용에 대해 동료 직원들과 나눈 대화가 있다면 해당 대화도 간접적인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3. 노무사와 별도 구체적인 대면 상담을 받아 보신 후에 직장 내 괴롭힘으로 신고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업무시간 내에 처리가 불가능한 업무를 계속 지시한다면 직장내 괴롭힘으로 신고가 가능합니다.

  • 1)직장 내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할 것(기본적으로 지휘명령 관계에서 상위에 있는 경우), 2)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을 것, 3)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일 것(그 행위로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받았다면 인정) 등의 요건을 충족한 경우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합니다.

    업무상 적정범위를 초과하여 과다한 업무를 부여하는 경우에는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녹취록이나 메세지 기록은 증빙자료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노무사입니다.

    물리적으로 할 수 없는 양의 업무를 부여하고 강요하는 행위는 업무상의 적정범위를 넘는 직장내괴롭힘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대화내용도 증빙자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호재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만으로는 정확한 사실관계의 판단이 어려우나,

    퇴사 한 직원들의 진술도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할 수 있으리라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의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히 판단이 어려우나, 근로자는 위와 같은 상사의 행동에 관한 객관적인 입증자료를 구비하여 사업장 소재지 관할 노동청에 직장내괴롭힘 등을 이유로 진정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직장 내 괴롭힘은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업무상 적정 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사실관계의 확인이 더 필요해보이지만 사적심부름 지시 및 과도한 업무부여도 괴롭힘의 유형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