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값이 오르면 집 값이 떨어지는 것은 어떤 이유인가요?
전세의 가격이 오르게 된다면 반대로 집 값이 떨어진다는 소리가 있던데
이런 말이 나오게 되는 것은 어떤 원리로
전세 가격과 집 가격이 반대로 움직이게 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은 전세가격이 오르면 세입자들이 그부분이 불안해서 집을 구입을 하는편이어서 집값이 오른다고 보고 있습니다
지금도 전세가 오르더니 매매로 돌아서서 집값이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단지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는건 더많은 세입자들이 전세금부터 대출이 있어서 추가 대출을 받을수 없어서 집구입이 힘들다고 봤을때 그런 현상이 올수는 있다고 봅니다
어찌됐든 공급이 부족하고 수요자가 있으면 집값은 오른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격이 오르면 즉 임대 시장에서 전세가 상승하면 매매 시장에서 집값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세가격이 상승하면 주택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부담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주택 구매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잘못 알고 계십니다. 전세가가 오르면 그영향으로 매매가가 상승합니다. 이것이 가장 일반적인 현상이고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값과 집값이 반대로 움직이는 현상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집값이 하락하는 시기에는 사람들이 집을 사는 것을 꺼리게 됩니다. 대신 전세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전세 수요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전세값이 상승하게 됩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전세 대출 금리도 낮아지기 때문에 전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집니다. 반대로 금리가 높아지면 집을 사는 것보다 전세를 선택하는 것이 더 경제적일 수 있습니다. 특정 지역의 아파트 입주 물량이 감소하면 전세 수요가 증가하게 되어 전세값이 오를 수 있습니다. 반면, 집값은 수요가 줄어들면서 하락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전셋값이 오르면 집값도 오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무주택자를 중심으로 전세 가격이 올라가면 내집 마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주택 수요가 늘어나면서 집값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전세가격이 상승하면 투자 목적으로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수하는 수요가 늘어날 수 있기에 전세가격이 오르면 주택을 매수할때 금액이 감소하고 그러면 투자하려는 사람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현재 전세값은 계속 오르고 있으나 유효수요가 한정되어 이런 공식이 들어 맞을 지 알기가 힘든 상황이 되고 있습니다. 그것은 전세 세입자의 다수가 전세보증금 자체에 대출을 끼고 있어 주택을 매수할만한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투자를 하는 시점은 전세가격이 상승하는 시점이 아니라 돈을 벌수 있다고 판단이 설 때이기에 시장의 움직임에 관심을 가지고 잘 지켜봐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공인중개사입니다.
집값은 여러 요소에 의해서 결정되기에 여러요소를 보아야하지만 전세값이오르면 매수세가 줄어들게되어서 집값이 떨어지기도합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의 가격이 오르게 된다면 반대로 집 값이 떨어진다는 소리가 있던데
이런 말이 나오게 되는 것은 어떤 원리로
전세 가격과 집 가격이 반대로 움직이게 되는 것인가요?
==> 통상 전세값이 상승하게 되면 매수세력화 되어 집값이 오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전세가격과 집가격은 통상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가 상승하면, 갭 가격이 줄어드니 자연스래 매매가도 같이 상승하는게 일반적 입니다.
전세 가격과 집 가격은 정비례로 상승합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