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사란 직업이 있던데요 관세사 같은 경우에는 무슨일을 하는건가요
우리나라에도 정말 여러가지 직업이 존재하고 있는것 같아요 그리고 우리나라 직업중에서
관세사란 직업이 있던데요 관세사는 보통 어떤일을 주로 하는건지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관세사는 수출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관세, 부가세, 통관 절차 등을 전문적으로 처리하며 기업이 법규를 지키면서도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조언하는 일을 합니다. 물품의 세율 적용, 원산지 검증, FTA 활용, 관세 분쟁 대응까지 업무 범위가 넓고 실제로 세관과 기업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관세사는 관세와 관련된 전문직으로 이와 관련된 모든 업무를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관세와 관련하여는 통관대행, 세관대응 그리고 이와 관련된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AEO 인증, 관세심사, 외환심사, FTA 컨설팅, 이전가격 세팅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관세외 전략물자 등에 대하여도 업무를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이런 질문 자주 나오는 편인데, 딱 정해진 방식 없이 풀어주는 게 더 자연스럽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설명부터 시작해볼게요:
수출입 통관을 하려면 세관 신고라는 걸 반드시 거쳐야 하는데요, 이 과정을 대신해주는 전문직이 바로 관세사입니다. 기업이 직접 하기엔 절차가 복잡하고 법적인 책임도 따르기 때문에, 관세사가 서류 준비부터 신고, 분쟁 대응까지 전반을 맡아서 처리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무에서는 관세율 적용, 품목분류 검토, 관세 환급 신청 같은 것도 관세사가 주로 담당합니다. 쉽게 말하면, 물건이 국경을 넘을 때 생기는 모든 절차와 법적인 책임을 기업 대신 해결해주는 전문가라고 보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관세사의 직무와 관련해서는 관세사법 제2조에 다음과 같이 열거되어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이면서 메인 업무인 수출/수입통관이 있으며 FTA/AEO/무역 등 다양한 컨설팅 및 자문 업무가 포함됩니다.
1. 수출입물품에 대한 세번(稅番)·세율의 분류, 과세가격의 확인과 세액의 계산
2. 자율심사 및 그에 따른 자율심사보고서의 작성
3. 물품의 수출·수입·반출·반입 또는 반송의 신고 등과 이와 관련되는 절차의 이행
4. 수출입하려는 물품의 허가·승인·표시나 그 밖의 조건을 갖추었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하는 증명 또는 확인의 신청
5. 이의신청, 심사청구 및 심판청구의 대리
6. 관세에 관한 상담 또는 자문에 대한 조언
7. 수출입신고와 관련된 상담 또는 자문에 대한 조언
8. 환급청구의 대리
9. 세관의 조사 또는 처분 등과 관련된 화주(貨主)를 위한 의견진술의 대리
10. 「관세법」에 따른 신고·보고 또는 신청 등과 이와 관련되는 절차의 이행
11. 원산지 확인 등을 위한 조사 참여와 의견진술의 대리
감사합니다.
1명 평가관세사는 수출입과 관련된 물품의 통관 절차를 전문적으로 처리하는 자격사로서, 주로 세관과의 업무를 대행하거나 자문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수출입 신고서 작성, 원산지 증명서 검토, 품목분류(HS코드 판정), FTA 활용 자문, 세율 적용 상담 등을 수행하고 기업을 대신해 의견서를 작성하거나 이의신청, 심판청구 등의 절차를 대행하기도 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