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기타 영양상담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

마이야르반응이란 무엇인가요? 해당 반응으로인해 음식의 맛이 변하나요?

마이야르반응이란 무엇인가요? 해당 반응으로인해 음식의 맛이 변하나요?

위의 반응이 왜 음식의 맛을 바꾸게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질문하신 내용 잘 확인했습니다.

    마이야르 반응은 단백질 속 아미노산과 탄수화물 속 환원당이 열을 받으면서 일어나는 화학적 갈변 반응입니다.

    고기, 빵, 커피, 구운 채소에서 갈색으로 변하고 고소한 향과 풍미가 생기는 이유가 바로 이 반응 때문입니다. 단순히 색이 변하는것에 그치지 않고 수백가지의 새로운 화합물이 만들어지면서 음식의 맛과 향이 깊어집니다.

    예로 고기를 구울때 나는 고소하고 진한 향, 빵 껍질의 구수한 맛, 커피의 로스팅 풍미는 모두 마이야르 반응의 결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 반응은 원재료의 단순한 맛을 복합적이고 풍부하게 변화시켜 음식의 맛의 차원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원리입니다. 그래서 조리에서 열과 시간 조절이 중요한 이유도 바로 마이야르 반응의 정도를 적절히 조율하기 위해서랍니다.

    답변에 참조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혜수 영양사입니다.

    마이야르 반응은 음식 속의 아미노산(단백질 구성 성분)과 환원당(포도당, 과당 같은 당류)이 열을 받을 때 서로 반응하는 화학 반응이에요.

    이 반응은 단순히 색깔만 갈색으로 바꾸는 게 아니라, 새로운 향기와 맛을 만들어내는 과정이기도 해요.

    예를 들어 빵을 구울 때 나는 고소한 향, 스테이크를 구웠을 때 생기는 불맛, 커피 볶을 때의 깊은 풍미가 다 마이야르 반응 덕분이에요. 

    왜냐하면 아미노산과 당이 결합하면서 수백 가지의 새로운 화합물이 생기는데, 그중 일부는 고소한 맛, 구수한 향, 쓴맛이나 감칠맛을 내는 분자들이거든요. 

    이런 다양한 화합물이 합쳐지면서 우리가 ‘익은 음식 특유의 풍미’라고 느끼는 복합적인 맛이 만들어지는 거예요.

    즉 마이야르 반응은 단순히 갈변 현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단백질과 당이 화학적으로 변해 새로운 풍미 물질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라서 음식의 맛을 완전히 바꿔버립니다.

  • 안녕하세요. 강우향 영양사입니다.

    마이야르 반응은 단백질과 당이 열을 받을 때 일어나는 화학 반응입니다. 이 반응으로 갈색 색깔이 나고 구운 고기, 빵, 커피 특유의 고소하고 깊은 풍미가 생깁니다. 맛이 변하는 이유는 반응 과정에서 수백가지의 새로운 향미 물질이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마이야르 반응 덕분에 음식이 단순히 익는게 아니라 맛과 향이 훨씬 풍부해지는 것입니다.

  • 마이야르 반응은 주로 140~165도의 온도에서 일어납니다. 이 반응은 설탕을 캐러멜화하는 것과는 다른데, 캐러멜화는 설탕 분자 자체만 열에 의해 분해되는 반응인 반면 마이야르 반응은 아미노산과 환원당이 결합하여 복잡한 분자들을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복잡한 분자들은 멜라노이딘이라고 불리며, 이들이 음식에 갈색을 입히고 고유한 풍미를 더하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마이야르 반응은 당분이나 탄수화물 성분이 열에 반응하여

    당분 함량이 높아지게 되는 현상입니다. 예로 양파를 낮은 불로

    오랫동안 볶을 때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호연 영양사입니다.

    마이야르 반응은 아미노산과 환원당 사이의 화학 반응으로 멜라노이딘 색소가 생성돼 음식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특유의 풍미를 내게 되는 현상입니다. 고기를 구울때 생기는 갈색 크러스트나 식빵의 갈색 껍질. 장류 특유의 갈색이 마이야르 반응의 결과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