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갑자기성실한귀족
갑자기성실한귀족

부동산에서 사용하는 잔금, 중도금 뜻 쉽게 설명해주세요

부동산에서 자주 나오는 단어인 잔금과 중도금의 뜻을 쉽게 알려주세요! 고1인데 곧 자취할 거라 그런 뜻까진 잘 모르겠네요 ㅜㅜㅜ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통상적으로 부동산 매매나 임대차계약을 하게 될 경우 처음 계약 시 계약금 10% 정도 걸고 그 다음 60%는 중도금을 납부를 하고 나머지 이사하는 날 잔금 나머지 내고 소유권이나 입주를 하시면 되는 프로세스이지만 보통 개인간에 거래 시에는 중도금을 생략을 하고 계약금 잔금 형식으로도 많이 진행을 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은 금액이 고가이다보니 거래시 보통 계약금, 중도금, 잔금(통상 계약금은 전체 금액의 10%, 중도금 60%, 잔금 30%)으로 나누어서 지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계약금은 상호 거래를 약속하는 의미로서 매수인(사는 사람)이 매도인(파는 사람)에게 지불하는데 특별한 사유 없이 일방의 의사로 계약을 취소하는 경우 매수인은 계약금을 포기함으로서, 매도인은 계약금의 2배를 지급하고 취소할 수 있습니다. 중도금은 계약을 이행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중도금이 지불되면 더 이상 일방의 의사로 계약을 취소할 수 없습니다. 잔금을 지불함으로서 매수인은 의무를 다하게 되고 매도인은 등기(등기부에 부동산에 대한 권리관계를 기록하는 것)를 넘겨주게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중도금은 부동산 계약을 할 때, 계약서 쓰고 계약금을 낸 뒤 잔금을 내기 전 중간에 한 번 또는 여러 번 나워서 내는 돈입니다.

    보통 전체 금액의 30~60%정도 중도금을 내고 정해진 날짜에 맞춰 집주인에게 보내시면 되겠습니다.

    잔금은 마지막으로 남은 모든 돈을 한 번에 다 내는 걸 말합니다.

    잔금을 다 내는 날은 보통 입주일 또는 실제로 방을 넘겨받는 날을 의미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보증금 500 월세 30이라고 얘기 드리겠습니다.

    보통 계약의사가 있어서 계약을 하게 되면 500만원 전체를 넣지 않고

    계약서 작성시 10% 계약금을 넣는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입주날짜에 잔금을 넣는 경우도 있지만

    중간에 계약금과 잔금사이에 내는 중도금이 있습니다.

    계약을 확실하게 이어가기 위한 금액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보통은 아파트 매매 할 경우 진행하며

    월세가 저렴한곳은 중도금을 따로 진행하지는 않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윤덕성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계약 시 대금 지급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부동산 계약 시 대금 지급에는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가계약금: 정식 계약서 작성 전 매물 확보를 위해 구두계약과 함께 지금하는 계약금입니다.

    계약금: 정식 계약서 작성 시 지급하는 금액입니다. 계약금 지급 후 계약파기 시 배액배상의 의무가 발생합니다.

    중도금: 계약에 따라 중도금이 있기도 없기도합니다. 다만 중도금이 있는 계약의 경우 중도금 지급 후 배액배상의 계약파기가 불가하며, 상호 협의에 의한 계약 파기만 가능하여 사실상 계약 파기가 어려워집니다.

    잔금: 매매대금에서 가계약금, 계약금, 잔금 등을 제외한 나머지 잔액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에서 자주 나오는 잔금이랑 중도금은 집을 사거나 전세 계약할 때 돈을 한 번에 다 내지 않고 나눠서 내는 방식에서 나오는 말입니다

    1. 계약금

    계약을 처음 할 때 내는 돈입니다

    전체 금액의 10% 정도가 보통입니다

    2. 중도금

    말 그대로 중간에 내는 돈입니다

    집값이나 전세 보증금을 계약금, 중도금, 잔금으로 나눠 낼 때, 중간에 한 번(또는 여러 번) 내는 돈입니다

    예: 전체 1억이라면

    계약금: 1,000만 원

    중도금: 4,000만 원

    잔금: 5,000만 원

    이런 식으로 나눠서 입금우ㅏㅂ니다

    3. 잔금

    마지막으로 내는 돈입니다

    보통 집을 완전히 넘겨받기 직전에 내고

    잔금을 다 내야 집 소유권(등기)을 넘겨 받는 형태로 진행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먼저 계약금은 계약서를 작성하고 나서 지급합니다. 계약이 성사되었다는 뜻으로 보통 전체 금액의 10% 를 지급합니다.

    중도금은 잔금 전 일정을 잡아 지급합니다. 보통 전체 금액의 50-80% 정도로 합니다.

    잔금은 나머지 금액을 말하며, 입주 시 지급합니다.

    현업에서는 보통 계약금과 잔금으로 나누어(10/90) 많이 진행하며, 중도금은 계약금액이 클 경우에 넣어 실행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계약진행시 계약금은 약10% 수준에서 지불하고 계약을 진행한다는 의사표시이며 그리고 중도금은 중간에 보증금을 40%선에서 송금하게 되며 잔금은 마지막 보증금을 나머지 대금을 최종납입하여 이사하게 됩니다

    대략 계약 진행 기간은 계약금 지불 후 20일 ㅡ30일 사이에 이루어집니다

    다시말하면 계약 진행상 보증금을 나누어 진행한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으로 소규모 보증금은 계약금 10%선에서 약정하고 중도금 절차 없이 바로 잔금 90%로 완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때로는 계약시 모든 절차를 생략하고 보증금 전액을 지불하고 공실의 경우은 바로 다음날 이주하는 경우도 발생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