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배상똘
배상똘

월세 전세 반전세의 차이가 무엇이죠?

안녕하세요 배상똘입니다 경제공부중인 경제초보입이다. 월세 전제 반전세의 차이가 무엇이죠? 어떤게 더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는 보증금이 천만원에 얼마를 월세로 정하고 전세는 월세 없이 전체가 보증금으로만 정해진금액입니다

    반전세는 보증금이 반정도에 월세가 반정도입니다

    반전세도 월세라고 보시면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차는 크게 월세와 전세로 구분됩니다. 전세는 큰 몫돈을 한번에 임대인에게 지급하고 매월 주거비용부담없이 거주하는 형태이고, 월세는 매월 주거비용을 임대인에게 지급하고 거주하는 방식으로 전세보다는 보증금이 낮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전세의 경우는 원칙상 월세에 해당하며 일반월세와의 차이는 보증금이 전세보다는 낮지만, 월세보다는 훨씬 높은수준으로 부담하는대신 매월 납입하는 월세가 일반월세보다는 낮은 수준의 계약형태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는 보증금 내고 거주하는 방식이고, 월세는 보증금 약간에 월차임을 지급하고 거주하는 방식입니다.

    반전세는 월세와 형태가 거의 유사하지만, 보통 보증금이 월세에 비해 크고 (보통 월세 20년치 보다 보증금이 크면 반전세로 간주합니다.)전세의 변형이므로 계약기간 집을 완전히 임차하므로 보일러나 벽지 같은 주요한 항목이 아닌 전등이나 도어록 건전지 교체 등은 임차인이 스스로 구매, 교체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물론 이는 특약으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반면에 월세는 상대적으로 보증금이 적은 편이고 집을 빌리는 개념이 강해서 간단한 수리 비용도 모두 임대인이 부담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전세는 보증금이 크게 월세가 0원인 임대차입니다.

    반전세는 보증금이 크면서 월세가 조금 껴 있는 임대차를 편의상 부르는 말이고 사실은 월세인 임대차입니다.

    월세는 보증금이 적고 월세가 높은 임대차입니다.

    각자의 상황이 다르고 하기 때문에 어떤게 더 좋은 방법이라고 보기는 애매합니다.

    전세는 적은 비용으로 집을 이용할 수 있지만 전세사기등의 위험성이 높고 목돈이 묶이는 단점이 있습니다.

    월세는 주거비가 다소 높지만 보증금을 떼일 염려가 적으며 목돈이 묶이지 않아 다른곳에 투자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차계약 관계에서 월세 전세 반전세라는 의미를 많이 사옹하는데

    전세란 보증금만 납부하고 월세가 없는 계약을 의미하며 반전세는 보증금이 전세금의 반액 정도이며 나머지는 월세로 환산하여 책정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대부분의 월세계약을 의미한다고 봅니다 엄격한 의미에서는 보증금 없이 순수한 월세 계약도 있지만 임대인이 계약관계의 안전을 위하여 채택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임대료(월세)가 밀리면서 이사가지도 않으면 법적으로 해결하여야 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반전세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월세를 의미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는 계약기간 동안 일정한 금액의 보증금을 걸고 매월 정해진 금액을 임대인에게 지불하면서 거주하는 것이며

    전세는 임차인이 일정한 금액의 보증금을 입주할 때 한 번에 지불하고 계약기간 동안 월차임 없이 집에 거주하는 것입니다.

    반전세는 반월세라고도 하는데 월세보다는 많고 전세보다는 적은 보증금을 걸고, 일정 금액의 월차임을 정해서 매달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용준 감정평가사입니다.

    월세와 반전세는 보증금의 크기에 따라 나뉩니다. 반전센란 보증금이 월세와 전세 사이 중간즈음으로 결정되고 월세보다는 비교적 적음 월차임을 지급하는 형태입니다. 어떤 것이 더 좋다고는 말씀드리기 어렵고 본인이 마련할 수 있는 보증금의 액수에 따라 계약형태를 결정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는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주택을 임대하고, 임차인이 매달 정해진 금액을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보통 보증금과 월세가 있으며, 보증금은 계약 종료 시 반환됩니다.

    전세는 임차인이 일정 금액의 보증금을 임대인에게 맡기고, 그 대가로 일정 기간 동안 주택을 임대받는 방식입니다. 전세 기간 동안 임차인은 월세를 지불하지 않으며, 계약 종료 후 보증금을 전액 반환받습니다.

    반전세라는 말은 법정 용어가 아니고 전세로 살다가 보증금을 올려줄 수 없으니 월세로 전환하여 사는 경우며 어떤 이유인지 모르지만 월세를 자꾸 사람들이 반전세라고 합니다. 참고로 법에서는 정확하게 월세입니다!!반전세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면 전세는 보증금만 있고 월세가 없는 경우이고 반전세는 보증금도 있고 월세도 있는 즉 월세에 가까운 형식입니다. 목돈의 여유가 있을 경우 전세로 해서 월 비용을 줄이고 싶은 경우는 전세가 유리하고 반대로 보증금의 목돈이 부담스러울 경우 소액의 보증금을 맡기고 월세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임대인과 본인의 사정에 협의를 통해서 전세든 반전세든 선택하시면 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