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자신의 주택이나 토지의 정확한 가치를 평가 받기 위해선 어디에 문의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단독주택이나 토지의 경우에는 거래가 활발하지 않고 비교하기도 쉽지 않다보니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감정평가사에 의뢰하여 감정평가를 받는 방법이 일반적입니다.
경제 /
부동산
25.11.10
0
0
이사하는데 전기,수도는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전기요금의 경우 기존주택은 한전의 앱이나 사이버지점 또는 고객센터를 통해 정산이 가능합니다. 이전하는 주택은 신청을 하지 않더라도 사용한 만큼 금액이 고지될 수 있으나 본인 명의로 하면 실시간 요금 조회 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량에 대한 확인이 확실하여 이전 사용자와의 문제에 얽힐 염려가 없으니 한전 홈페이지나 한전ON앱에서 회원가입 후 명의변경을 하시거나 국번없이 123으로 한전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명의변경 신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수도요금은 서울의 경우 아리수앱이나 고객센터 등을 통해 정산할 수 있는데, 빌라에 따라서 고지 방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임대인이나 중개한 부동산에 연락하여 고지 방식을 확인하셔야 할 수 있습니다.
경제 /
부동산
25.11.10
5.0
1명 평가
0
0
청약 통장을 어지 하나요? 깰까요 최근 3년안에 225만개가 감소했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최근 청약통장을 해약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특히 젊은이들의 경우 아파트 분양가격이 오르는데다가 청약가점 부족으로 당첨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금리도 낮다보니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하여 해약하는 경우가 많은 편입니다. 하지만 주택관련 정책은 변화할 수 있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하므로 꾸준히 청약 통장에 불입해 나가다보면 기회가 올 수도 있을 것입니다.
경제 /
부동산
25.11.10
3.0
1명 평가
0
0
분양받은 아파트 입주해야하은데 보증금 돌려받기가 어려울시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계약종료시기에 보증금을 돌려받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면 계약종료 2개월전까지는 내용증명으로 현재 상황을 정리하여 계약갱신거절의 의사와 문제점 등을 통지하셔서 임차권등기명령 및 보증금반환 소송을 준비하시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임대차기간이 종료(한달이 경과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되었음에도 보증금이 반환되지 않은 경우에는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절차상 미리 신청할 수는 없습니다. 임차권등기명령으로 임차권이 등기부등본상에 기재된 이후에 이사를 하셔야 대항력이 유지될 수 있으며, 이보다 먼저 이사를 하게되면 대항력을 상실하여 보증금을 돌려받기가 어려워질 수 있음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임차권등기명령에도 보증금반환이 되지 않는다면 전세보증금반환소송을 하셔야 할 수 있습니다.
경제 /
부동산
25.11.09
0
0
1가구 2명 세대주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1가구에 세대주가 2명이라도 재건축시 계약은 소유자하고 계약하게되므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동거인으로 변경하지 않더라도 상관없습니다.
경제 /
부동산
25.11.09
0
0
전세 계약 갱신 요구권의 5% 올리는 것은 어떻게 결정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계약갱신요구권은 전세계약기간 중 1번만 사용할 수 있는데,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 사용에 대해 임대인은 5%의 한도내에서 보증금을 인상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임대인과 임차인간의 협의에 따라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협의가 잘 되지 않는다면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경제 /
부동산
25.11.09
0
0
내년 지방선거로 인해 지방부동산 살아날까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내년도 지방선거를 위해 부동산 관련한 규제를 완화할 가능성이 없지는 않으나 문재인정부시절 집값 상승이 정권을 잃어버린 주요한 이유였기에 부동산 규제를 완화했을 때 발생할 후폭풍을 두려워함에따라서 규제 완화에는 소극적일 가능성이 더 많다고 판단됩니다.
경제 /
부동산
25.11.09
0
0
집매매에대해궁금해서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최근 서울 및 수도권 주요지역과 지방간의 양극화가 갈수록 심화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구도 주요지역의 경우에는 서울 못지않은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 곳도 있기는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인구도 감소 추세에 있는데다가 직업을 찾아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인구가 많다보니, 정부의 특별한 대책이나 경제 상황의 변화 등이 없다면 수도권의 집값 상승률이 더 높을 가능성이 많다고 판단됩니다.
경제 /
부동산
25.11.09
5.0
1명 평가
0
0
부동산 공시가와 실거래가가 다른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부동산공시법에 따라서 공시된 토지의 적정가격이 “공시지가”이고 주택의 적정가격이 “공시가격” 입니다. 정부에서는 부동산가격공시제도에 따라 매년 조사 평가하여 적정하다고 판단되는 가격을 공시하는데, 이러한 가격은 시장변동이나 부동산의 특징, 거래자 간의 협상 등 특별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적정가격을 결정하므로 실 거래가와는 많은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점차 없애고자 공시지가 실거래가 반영률을 점차 높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시지가, 공시가격을 올리면 세금부담이 늘어나므로 조세저항이 커져 2024년에는 2020년 수준으로 인하 적용하게 되었습니다. (토지 65.5%, 단독주택: 53.6%, 공동주택: 69%) 하지만 최근 계속되는 집값 상승으로 정부에서는 공정시장가액비율과 더불어 이에 대한 비율을 높이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제 /
부동산
25.11.09
0
0
제가 월세 거주자인데, 재계약 시 임대료 인상률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월세계약 갱신을 위해서 임대인은 계약종료 6개월전에서 2개월전 사이에 임차인에게 계약조건 변경에 대한 통지를 해야하며, 아무런 통지없이 이 기간이 지나게되면 2년간 동일한 조건으로 자동 연장되는 묵시적갱신 (단 2년 경과해야 함)이 될 수 있습니다. 임대인은 상기의 기간의 임의로 보증금과 월세 인상을 요구할 수 있는데 임차인은 1회에 한해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2년간 연장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임대인은 5% 한도에서 보증금과 월세 인상률을 인상할 수 있습니다. (관리비는 임대인 임의 조정 가능)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하시고 임대보증금을 500만원으로 고정한다면 월세는 31만5938원이 상한치가 되며 이 금액내에서 임대인은 월세를 인상할 수 있습니다.
경제 /
부동산
25.11.09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