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최근 직거래가 계속 늘고 있는 추세 인가요??
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서울 아파트 매매 같은 경우 2023년 3.1%에서 25년 7.6%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서울 아파트 같은 경우 평균 매매가가 10억이상이 넘다보니 중개보수가 적게는 몇 백만원 많게는 천 만원이상 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비용적인 부분에서 부담이 되다보니 직거래를 하는 추세가 늘고 있는 것 같습니다.또 직거래 플랫폼 당근부동산, 번개장터, 직방, 다방등터해서 다양하게 나와서 당사자들간에 직거래를 하는 경우도 많이 생겨나고 있습니다.직거래를 통해서 수수료를 아끼는것도 좋지만 계약전에 등기부등본 확인, 계약서 작성 등 법적 절차 미비로 분쟁 발생가능성이 높으니 항상 꼼꼼하게 체크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이상입니다.감사합니다.
Q. 베블런 효과는 무엇을 의미하고 왜 발생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베블런 효과란 가격이 오를수록 수요가 증가하는 소비현상을 말합니다.이 현상은 19세기 미국 경제학자 베블런이 저서 유한계급론에서 소개한 개념입니다.일반적인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있는 것이 반응하는 경향이 있지만 베블런 효과는 정반대 상황이 발생합니다.명품 브랜드 샤넬, 에르메스 같은 경우 매년 가격을 올려도 인기가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강남권 초고가 아파트 같은 경우 압구정 현대, 래미안 원베일리, 반포 아크로리버바크 등은 실거주 수요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징, 자산의 안전지대 명품 부동산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이 때문에 금리인상, 거래 절벽, 대출규제 상황속에서도 이들 아파트는 신고가를 경신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거래량이 줄어도 비싼 아파트는 더 오른다는 역설적인 현상이 벌어지는 것이 바로 베블런 효과입니다.이상입니다.감사합니다.
Q. 서울 전세시장에 월세 수요 급증했다는 무슨의미일까요?
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월세 수요가 급증한 이유는 첫번째로 전세 매물 감소를 들 수 있습니다. 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이 1개월 만에 3.4% 줄었고 강남구 등 일부 지역은 월세 매물이 오히려 전세를 넘어서기도 했습니다.두번째는 갭투자 차단 하려는 정부의 정책에 있습니다. 실거주 의무를 강화화고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을 금지하면서 투자목적 전세물건이 급감 했습니다.세번째는 대출규제로 인해 전세자금 대출 한도 자격이 크게 강회되면서 많은 세입자들이 목돈 마련이 어려워 졌습니다.네번쨰는 신규 주택 공급 감소로 인해 입주물량이 거의 없다보니 전세 물량이 없어졌습니다.이로 인해 세입자는 월세 지출 부담이 증가 됐습니다. 소득이 낮은 세입자의 경우 월세+관리비 월 100~200만원씩 지출하며 생계비의 절반 가까이 월세로 빠지는 상황이 됐습니다.전세 매물 감소로 인해 선택권이 축소 되면서 매물 부족과 + 비싼 보증금으로 인해 월세를 택해야 하는 사례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습니다.서울 전세 시장에서 월세 수요 급증이란, 세입자들이 전세를 못 찾거나 못 들어가고 불가피 하게 월세 또는 반전세로 몰리면서 시장 전체가 월세화 변화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로 인해 실제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 주거 안정성이 모두 악화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습니다.이상입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