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트럼프의 행보가 국제질서와 국제무역에 미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냉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한 다자간 국제무역체제는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면서 사실상 마비되고 있습니다.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패권을 위협하는 국가로 인식되는 점과 미국의 만성적인 적자 등을 해결하기 위해 트럼프는 본인의 스타일로 세계 경제에 충격을 주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미 트럼프 1기때 경험을 하여 어느정도 예상이 되는 시나리오는 있는 상태지만 동맹국 가리지 않고 관세 부과 및 여러 조치들이 추가될 예정입니다. 멕시코의 경우 우리나라도 현지 공장이 있다보니 피해가 예상되며, 우리나라도 관세부과를 맞게 된다면 역시 피해가 예상됩니다. 따라서, 트럼프 2기 기간 동안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세계경제가 일부 위축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 입장에서 중국이나 다른 국가 제재로 인해 반사이익을 얻는 분야가 생길수도 있다는 점과 트럼프와의 별도 협상을 통해 입맛을 맞춰주면서 실리적으로 접근한다면 충격이 덜하거나 다른 분야는 좋은 상황이 될수도 있으므로 면밀하게 상황을 주시하여 대응해야할 것으로 보여집니다.감사합니다.
Q. 미국과 중국의 패권전쟁에서 미국이 중국에 가하는 공격은?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미국은 중국의 부상으로 패권을 위협하는 국가로 인식하여 무역 및 여러 분야에서 제제를 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중국은 과거와 달리 경제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트럼프 1기 때는 중국산 제품에 대하여 전방위적인 보복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시작으로 바이든 정부에서도 이를 계승하여 지속하였으며 중국 기업 블랙리스트를 지정하여 반도체, 통신, 드론 등의 기업들에게 대중국 수출제한이라는 초강수를 두었습니다. 특히 첨단 반도체 생산을 막기 위해 타 국가의 장비 수출도 금지하다보니 쉽지 않은데 일반 기술 수준의 반도체에 대한 제제를 진행하게 된다면 중국의 제조업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미국은 달러라는 기축통화를 보유한 국가이므로 금융제재도 가능하므로 중국의 반응에 따라 다양하고 다각화된 방법으로 조치를 취하게 될 것이며 중국은 힘든 시간을 보낼 것으로 예상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Q. 캐나다와 멕시코가 미국을 상대로 WTO에 제소를 했는데요 WTO는 무슨일을 하고 언제 생긴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세계무역기구인 WTO는 회원국들간의 무역 관계를 정의하는 여러 협정을 관리 감독하는 기구로서 GATT 체제를 대체하기 위해 등장하였으며 무역 장벽을 감소하거나 없애는 목적을 가지고 있어 자유무역을 지향하고 있습니다.또한, 동 기구는 다자간 무역협정의 체결 및 운영을 위한 프레임워크 제공, 회원국 간의 협상 포럼 제공, 분쟁 해결을 위한 규칙과 절차에 대한 이해 관리, 무역정책임심의기구 운영 등 여러가지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과거 WTO는 1995년에 설립되어 우루과이라운드 협상으로 관세감축과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등 여러 역할을 해왔지만 4차 각료 회의인 도하개발아젠다는 협의가 도출되지 못하고 있으며, 미국의 관세부과에 따른 상소기구 위원 임기 연장 거부 등을 통해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한계도 존재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