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은 일본EU랑 딜 끝냈다는데, 우리나라 대응은 어떻게 잡아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미국이 EU, 일본과 관세 협상을 마무리하면서 우리나라에도 비슷한 요구가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정부는 대미 수출 비중이 큰 자동차, 철강, 배터리와 같은 핵심 품목을 먼저 점검해 대응 순서를 정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시기적으로는 미국 내 정치 일정과 관세 정책 변동 가능성을 살피면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어적 전략을 우선 마련하고, 이후 상호 협력안을 제시하는 방식이 현실적입니다.
Q. 미국과의 무역협상이 아직도 타결이 안되고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협상 일정이 늦춰지면 당장 급한 대응은 줄어들지만, 불확실성이 커지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 차원의 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우선 미국 시장으로 나가는 주요 품목의 관세율 변동 가능성을 다시 점검하고, 해당 품목별 수출 실적과 원산지 자료를 미리 정리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HS코드 분류 적정성, 과거 협상에서 논의된 예외 품목 내역, 대체 시장 확보 가능성 등을 사전에 검토해 두면 협상 재개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Q. 2025년 APEC 회의가 서울인데, 무역 물류 실무 쪽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올해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는 아시아태평양 국가 간 무역 협력 강화와 물류 제도 개선 논의가 활발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통관 절차 간소화, 전자상거래 물류 표준화, 공급망 안정성 강화와 같은 주제가 다뤄질 가능성이 큽니다. 우리 물류팀은 회의 이후 발표될 정책이나 시범사업을 면밀히 검토해 선적 절차 간소화, 운임 절감, 신규 협력 루트 발굴 등 실무 이점을 빠르게 확보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Q. 미국 관세 부과 본격화 우리 제조업에 영향은?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본격화되면 우리나라 제조업 수출 품목 전반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철강, 배터리, 반도체 등 대미 의존도가 높은 산업은 협상 결과에 따라 관세 부담이 늘거나 완화될 수 있어 보입니다. 미국이 자국 산업 보호를 강화하면 단기적으로 우리 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낮아질 수 있고, 일부 품목은 우회 수출이나 원산지 관리 강화가 필요해질 수 있습니다. 협상이 장기화되면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계약 체결이나 투자 결정에도 신중함이 요구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