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자산을 키우는 사자팔자입니다. 조장우 전문가입니다.
자산을 키우는 사자팔자입니다. 조장우 전문가입니다.
조장우 전문가
누리부동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부동산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해외여행가서 한국 공모주 청약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가능 합니다. 해외라 하더라도 인증이 가능하고 인터넷이 가능하다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1주택자 추가 주택 구매 시 대출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아마 안될 것입니다. 무주택자 또한 최대로 대출 받는 정도에서 신용대출 등을 모두 빼고 차량 할부도 계산하게 됩니다. 즉, 1주택자에 대출이 있으신데 주택가격의 80%까지 나오지 않을 것입니다. 더군다나 요즘에는 대출 규제로 인해서 더욱이 안되니 일단 금융권 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원룸자취방결로/누수자국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크게 문제될 정도의 오염은 아닌 것 같습니다. 환기 잘 시켜주고 해당 부분에 락스푼 물로 살살 닦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락스는 살균력이 있고 환기를 잘 시켜주고 잘 말리면 곰팡이는 잘 해결이 되고 만약 살지 못할 정도로 누수가 발생된다면 이는 임대인에게 말하여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부동산관련해서 궁금한 질문 2가지 있어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현재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트렌드와 부동산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들에 대해서 궁금해 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 두가지는 다소 공통점처럼 들리는데요. 지금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의 상태라고 봐도 좋습니다. 여러 영향이 미치기도 하지만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그리고 금리의 영향이 제일 핫한 것 같습니다. 지금의 부동산 시장은 좋지 못하다는 뉴스나 얘기를 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이는 수요자들이 줄어들고 매도자들이 물건을 내놓고 있으나 거래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금리의 영향도 큽니다. 한때 날로 높아져만 갔던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금리를 올렸고 그에 따라 부담이 많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환율에 대한 문제가 생기고 지금은 금리를 내리더라도 시중금리는 많이 올라가는 상황으로 좋지 못한 상황입니다.결국 이러한 일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기에 한가지의 생각으로 바라보기보다는 수요와 공급 금리 환율 개발 방향 등을 잘 파악해야 합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대학가주변 상권 매출의 계절별 변동의 정도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학기 중과 다르게 방학 때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거의 없다면 정말 장사 안됩니다. 가게로 방문을 해주는 사람들이 학생들이 주로 많겠지만 방학하면 이러한 방문도 확실히 급감합니다. 방학을 못 버티고 폐업하는 가게들도 많아요. 옛날에는 방학을 하더라도 계절 학기나 외국 학생들이 많았지만 지금은 그렇지 못하고 소비 또한 잘 안하는 것 같아요.
부동산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아파트에 거주 할 때 어느 층에 거주하는 것이 가장 살기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아파트 층 수에 대해서 1층 10층 20층 30층 등 다양한 얘기들을 들어보고 말씀드려보면 실제 거주하기 가장 좋은 층 수는 중층 이상에 총 30층이라면 20층대가 가장 좋았던 것 같다고 하며, 그 이상으로 올라가더라도 그렇게 좋다는 느낌은 안받는다고 합니다. 오히려 너무 높다보니 밖을 잘 안보게 된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20층정도라면 14층에서 18층 정도가 좋다고 합니다. 너무 높지도 너무 낮지도 않아서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분양 받은 아파트를 팔았는데 다시 청약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가능합니다. 이전에 했던 청약 그대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사고전의 청약의 경우 일반적인 청약이지만 지금의 경우 장애인 우대나 특공 넣으시면 됩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예전 서울 인구수가 천만이 넘어갔던데 요즘에는 933만정도면 집가격이 왜 떨어지지 않는가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서울의 인구가 많이 줄었다고는 하나 그 당시에도 여전히 주택을 소유한 사람보다는 임대차하여 거주하는 사람들이 많았고 지금도 임대에 거주하거나 전세 사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서울에 가보시면 높은 건물들이 많아 보여도 실제 이를 소유하는 사람들은 서울에 없는 분들도 많이 계십니다. 그러다 보니 인구가 자연적으로 줄더라도 가구 수의 증가 자녀의 독립 등 옛날 보다는 절대적으로 인구가 줄어들었다 하더라도 결국 매수하거나 가구 수의 증가 인구의 유입 등으로 서울의 주택 수요는 여전히 많습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부동산 전세계약 후 확정일자 신고 관련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확정일자는 주택임대차 계약의 당사자인 임대인과 임차인은 개인과 법인 모두 온라인 확정일자 신청 및 정부24, 행정복지센터 방문하여 확정일자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공공임대주택 확대 정책이 젊은 세대의 주거 안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서울 및 수도권에 공공임대를 많이 공급하고 있습니다. 청년들이 대학교를 다니거나 할 때에 이전에는 정말 많은 돈이 들었고 지방에서 서울로 유학을 보냈다고 하듯이 많은 돈이 들었고 지금도 많이 들기도 합니다. 이에 도움이 되고자 청년역세권주택을 공급했습니다. 주택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서 결혼을 꺼려하고 자녀출산을 꺼려한다는 얘기들이 나와 장기전세 혹은 행복주택 등의 공급을 늘렸습니다. 젊은 세대의 주거안정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이는 경쟁률로 확인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좋지 않은 선택이라면 이렇듯 경쟁률이 높지 않을 것 같습니다. 지금은 가진 것이 별로 없어도 주거비용을 아끼고 생활비를 아끼며 점차 본인의 주거 안정을 위해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 같습니다.
26
27
28
29
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