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대한민국의 복지 정책 중 돌봄통합지원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2026년 3월부터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의료, 요양 등 돌봄통합지원이 제공된다. 보건복지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 시행령, 시행규칙 제정안은 7월 21일에 입법예고 했다고 합니다. 노쇠,장애,질병, 사고 등으로 일상생활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살던 곳에서 계속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의료,요양 등 돌봄 지원을 통합,연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돌봄통합지원법은 지난 2024년 3월 26일 공포돼 오는 2026년 3월 27일 시행을 앞두고 있는데요. 주요내용은 65세 이상,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로 등록한 장애인으로 의료와 돌봄의 통합지원이 필요하다고 복지부장관이 인정한 자,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복지부장관과 사전 협의한 자 등을 대상자로 명시했습니다. 시행규칙에는 통합지원 기본계획 수립절차, 지역계획 수립과 시행, 실태조사 내용과 방법, 통합지원 신청 및 긴급지원, 전문인력 양성 기관 및 전문기관 지정 등의 내용을 담았다고 합니다.
Q. 사회복지사는 현장에서 갈등이나 윤리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사회복지사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대립적 가치 혹은 경쟁적 가치에 직면했을 때 어떤 가치를 우선적으로 선택해야 할지 결정하지 못하는 경우 겪게 되는 윤리적 갈등, 윤리적 문제에서 상충되는 가치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가치와 개인적 가치 사이의 상충, 클라이언트의 가치 상충등 여러 윤리적 갈등이 있습니다. 그래서 사회복지사는 체계적이고 조직화된 사고의 단계와 절차를 밟아가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내용이 중요한데요. 윤리적 갈등 상황에서 사회복지사가 바람직한 실천 활동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윤리적인 측면들을 명료하게 하기 위한 윤리 사정 심사, 윤리 원칙 심사, 윤리 규칙 심사 등을 하는데요. 생명보호의 원칙, 평등과 불평등의 원칙, 자율과 자유의 원칙, 최소 손실의 원칙, 삶의 질의 원칙, 사생활 보호와 비밀 보장의 원칙, 진실성과 정보공개의 원칙 순서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