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최진솔 전문가
한양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무역
15일 전 작성 됨
Q.
미국 관세 부과 후 선주문 효과 끝났다는 얘기 실무에도 체감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미국 쪽의 현재 소비 및 물가 데이터를 면밀하게 추적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실무적으로 체감하자면 미국으로 수출물량이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현재의 각 기업의 가격 정책이 미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전혀 알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사실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 시나리오를 세우고 기업들은 대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5일 전 작성 됨
Q.
트럼프발 39% 고율관세에 협상안을 수정한 스위스처럼 우리도 무역협상 전략 조정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현재 관세율에 대한 협상은 한국기준으로는 이미 마무리가 되셨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스위스의 경우 협상 실패에 따라서 이러한 고율의 관세가 부과되게 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현재 협상은 이미 협상한 내용의 세부사항이지 기존의 결정사항을 번복하기 위한 협상은 아니라고 보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5일 전 작성 됨
Q.
미국 관세수입 증가가 무역정책 고착화시키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말씀하신대로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 이를 되돌리기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반기 수요의 경우에는 미래의 수요를 당겨온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미국 물가 인상에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바, 결국에는 물가에 전체적으로 반영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급격한 물가인상은 결국 소비자들에게 부담이 되고 미국의 재정정책에 큰 타격을 줄 수 밖에 없기에 이러한 측면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5일 전 작성 됨
Q.
관세율 고정 분위기 속 무역업체 대응은 어떻게 대응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상호관세율의 경우에는 사실상 HS code나 기타 수입요건과 무관합니다. 왜냐하면 품목별 관세가 아니라면 어떤 HS code로 분류하더라도 결국에는 해당 국가의 상호관세에 해당하는 세금을 납부하여야되기 떄문입니다. 따라서 무역통관을 보다 단순하게 만든다고 보시면 되며 이러한 관세는 결국 국가간의 협상을 통하여 낮출 수 밖에 없다고 판단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5일 전 작성 됨
Q.
관세 전가 논란 속 무역업체로서 소비자 피해 분석은 어떻게 해야 할까?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결국에는 최종적인 가격을 기준으로 협상을 하게 될 듯 합니다. 현재 수입자의 경우에는 과도한 관세 부담으로 인하여 이러한 가격에 대한 할인을 요구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에 대하여 각 기업들 간의 협상에 따라 가격이 결정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리고 소비자에 대한 전가의 경우에는 상당히 많은 고뇌가 필요할 듯 하며 가격에 대하여 소비자들의 반응이 탄력적이냐, 비탄력적이냐에 따라서 가격인상의 폭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됩니다.감사합니다
61
62
63
64
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