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보험을 다 안들어 주는 직장은 좋지 않은거죠?
우리가 직장이라고 하면 4대보험은 당연히 들어야 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다 들어 주지 않는 직장이라고 하면
그 직장은 뭔가 좋지 않은 직장인거죠?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
4대보험은 근로자나 사업주의 선택사항이 아니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라면 당연 가입해야 하는 것이므로 사업주가 이를 가입하지 않는 것은 법위반이며 과태료 대상입니다
참고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일정한 수준 이상 근로를 제공하거나 임금을 받는 자에 대하여서는 4대보험이 당연 가입되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
사업주는 근로자를 채용하여 사업 또는 사업장에 월 60시간 이상 근로자로 종사하도록 하였다면 법상 4대보험은 의무가입에 해당합니다. 이에, 이러한 법상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경우 추후 분쟁의 소지가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4대 보험은 사회보험이므로 가입이 의무입니다. 가입하지 않으면 사업주에게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가입하지 않는 사업장은 뭔가 편법적이거나 재무구조가 안정적이지 않은 사업장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
4대보험(산재보험, 고용보험, 건강보험, 국민연금) 가입은 사업장의 의무이니 반드시 가입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4대보험 가입요건을 충족함에도 불구하고 가입신고를 해주지 않는다면 문제있는 사업장이라고 봐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정원 노무사입니다.
우선 사회통념상 안정적인 직장은 4대보험 가입은 기본으로 하니 그러한 인식이 생길 수는 있습니다
다만, 단기 일자리 및 아르바이트는 4대보험을 가입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이는 목적에 따라 잠깐 일하는 것으로 반드시 나쁜 직장이라고만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물론 단기알바가 아닌 정규직 직원임에도 4대보험에 가입하지 않는다면 이상한 직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