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급등에 따라 주인전세 거래 방식이 나타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최근 서울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서 주인전세 거래방식이 나타나고 있다고 하는데..
이게 기존 주인이 아파트를 매도하고 그 집에 그대로 전세로 거주하는 형태를 이야기하는 건가요?
말 그대로 주인이 전세 세입자로 들어가는 것 같은데..
이러한 형태의 거래 방식이 늘어나는 이유는 왜 그런 건가요?
최근 서울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서 주인전세 거래방식이 나타나고 있다고 하는데..
이게 기존 주인이 아파트를 매도하고 그 집에 그대로 전세로 거주하는 형태를 이야기하는 건가요?
말 그대로 주인이 전세 세입자로 들어가는 것 같은데..
이러한 형태의 거래 방식이 늘어나는 이유는 왜 그런 건가요?
==> 현재 점유개정형태, 즉 매도인이 잔금일자를 기준으로 임차인으로 전환되는 제도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거래유형은 전체 거래의 10% 정도 수준이고 이렇게 하는 이유가 매도인이 입주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 금전이 필요한 경우에 매도인이 선택하는 방법이 거래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소유자가 주택을 매도하고 해당주택에 임차인으로써 거주하는 경우는 크게 두가지 경우로써 예상할수 있는데, 보통은 부동산 상승기에 해당 주택의 가치가 크게 오른 만큼 일단 매도를 하고 해당주택에 전세로써 거주를 하는 것일수 있고 반대로써 대출에 따른 주택유지등에 부담으로 해당 주택을 매도하고 그래도 거주하는 경우가 있을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이 늘어나는 시기라면 매수자 입장에서는 갭투자를 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향후 주택가격의 상승을 예상하는것이고, 매도자 입장에서는 현시점이 고점이라 판단하고 진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국은 입장에 따른 판단의 차이는 있겠으나, 부동산 상승기에 주로 나타나는 거래방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말씀하신 것과 같이 '주인전세'거래 방식은 기존 집주인이 매도 한 뒤 다시 그대로 전세 세입자로 사는 것을 뜻합니다.
우선 가장 먼저 이렇게 되는 이유는 서울 집값이 많이 오르고 있기 때문인데요, 기존 집주인들은 이 시기를 고점이라고 보고 지금 판매해서 차익을 실현은 하고 싶고, 다른 곳으로 이주하기에는 부담이 되기 때문에 전세로 그대로 거주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현재가 고점이라고 가정했을 때, 가격하락 후 다시 매수할 수 있는 여력이 생기기 때문에 집주인전세를 고려하는 것이지요.
만약 기존 집주인이 다주택자일 경우 종부세, 양도세 등 세금부담때문에 현재 사는 집을 처분할 때에도 이러한 방법을 취하기도 합니다.
질문에 대한 답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주인전세 거래는 말 그대로 기존 소유자가 집을 매도한 후 그 집에 전세 세입자로 들어가 계속 저구하는 거래 방식을 말합니다.
최근 서울 집값이 반등하면서 기존 소유자 입장에서는 지금 팔면 수익이 크다 생각하며 매도하고 싶지만 이사하고 싶지는 않은 분들이 많이 거래하는 방식입니다.
주인전세를 통해 현금화하면서도 거주 유지가 가능하여 선호하는 거래 스타일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맞습니다
말씀하신 주인전세는 말 그대로 기존 주인이 집을 매도한 뒤, 그 집에 전세 세입자로 다시 들어가는 거래 방식을 말합니다
이 거래는 최근 몇 년 사이 부동산 시장에서 점점 더 자주 등장하고 있고, 특히 집값이 급등하거나 고점이라는 인식이 강할 때 자주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집값이 더 오르기 어렵다고 판단하는 집주인들이 차익 실현,절세 ,보유세나 다주택 규제를 피하려는 목적입니다
유동성 자산을 현금화하여 다른 곳에 투자하거나 쓰기 위함이고 익숙한 주거지 변화 없이 거주할수 있어서 이방법을 많이 택하기도 합니다
고금리 부담 대출이자 부담을 줄이고 싶은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주인전세의 경우 기존의 집주인이 자기집을 매도를 하고 매도자와 다시 임대차계약을 맺어서 전세로 계속 거주를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주택수를 줄이기 위한 방법 또한 시세매도차익 실현, 향후 상승의 기대가 없다고 보는 심리등이 있을 수 있고 집을 매수를 할려고 하는 사람은 향후 내집 마련 및 시세 상승의 기대감등이 있을 수 있어 서로간에 협의가 되게 될 경우 거래가 성사가 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