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러블리한아나콘다249
러블리한아나콘다249

서울 아파트구역의 부동산 시세 순위가 궁금합니다.

서울 아파트구역의 부동산 시세 순위가 궁금합니다.

구별로 순위를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그리고 경기도 / 서울의 경계가 없어졌다는 의견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서울 아파트구역의 부동산 시세 순위가 궁금합니다.

    구별로 순위를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그리고 경기도 / 서울의 경계가 없어졌다는 의견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 서초구, 강남구, 용산구, 송파구, 성동구, 마포구, 광진구, 영등포구, 양천구, 동작구, 강동구, 중구 순입니다.

    출처 서울 아파트값 상위권 나열했더니···‘이 곳’에 쏠렸다 - 경향신문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2025년 기준 서울시 구별 부동산 평당 평균 시세의 경우 1위가 역시 강남구로 1억1120만원 입니다.

    2위가 서초구 1억500만원, 3위 용산구 9800만원, 4위 성동구 8900만원, 5위 송파구 8300만원,

    6위 강동구 7100만원, 7위 마포구 7000만원, 8위 광진구 6700만원, 9위 종로구 6600만원 10위 중구 6500만원

    으로 나오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2025년 서울내 아파트 실거래 통계(1월1일~3월9일) 기준으로 구별 가격은 1위가 서초구 28억 2144만원, 2위 강남구 27억 1016만원, 3위 용산구 21억 2326억원, 4위 송파구 17억 9609만원, 5위 성동구 14억 4828만원, 6위는 마포구 13억 9397만원입니다, 이어 7위는 광진구, 8워 종로구, 9위 영등포구. 10위 동작구, 11위 양천구, 12위 강동구, 13위 중구, 14위 서대문구 , 15위 동대문구, 16위 성북구, 17위 강서구, 18위 은평구, 19위 관악구, 20위 중랑구, 21위 구로구, 22위 노원구, 23위 금천구, 24위 강북구, 25위 도봉구 순입니다.

    그리고 경기권에서도 서울 일부지역보다 시세가 높은 지역들이 존재하는데 주로 경기남부권 지역으로 과천, 분당등이 준강남권으로 구분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서울 아파트 중 평당 시세 기준으로 다음 자치구들이 최상귀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1. 강남,서초,송파

    2. 마포, 용산, 성동

    3. 노원, 도봉, 강동

    4. 금천, 관악, 구로

    위와 같습니다.

    서울과 대등한 경기도는 과천, 분당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KB부동산 기준 7월 7일 현재 주간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 상위 순서는 상승률이 큰구에서 작은구 순으로

    마포구, 강동구, 광진구, 양천구, 성동구, 강남구, 동작구, 송파구, 영등포구 순서이고, 전년도 말 대비 상승률 순서는

    강남구, 양천구, 서초구, 송파구, 성동구, 용산구, 광진구, 마포구, 강동구 순입니다.

    서울 이외의 지역중에서는 성남시 분당구, 과천시 등이 많이 상승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아파트 시세 순위는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가 여전히 가장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다음은 용산, 성동, 마포, 동작구 등이 뒤를 잇고 있으며, 개발호재나 학군, 교통망에 따라 지역별 시세 편차가 존재합니다. 서울과 경기의 경계는 행정구역 기준이며 실질적인 생활권이나 수요는 입지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

    1. 서초구 24.7억

    2. 강남구 24.01억

    3. 용산구 17.32억

    4. 성동구 15.68억

    5. 광진구 14.63억

    6. 송파구 14.63억

    7. 마포구 14.55억

    8. 중구 13.2억

    9. 종로구 12.83억

    10. 동작구 12.69억

    11. 강동구 11.85억

    12. 영등포구 10.95억

    13. 양천구 10.81억

    14. 강서구 9.81억

    15. 서대문구 9.60억

    16. 동대문구 9.4억

    17. 은평구 8.67억

    18. 성북구 8.56억

    19. 관악구 8.4억

    20. 구로구 7.77억

    21. 노원구 7.41억

    22. 중랑구 7.15억

    23. 강북구 6.83억

    24. 금천구 6.53억

    25. 도봉구 6.21억

    경기도와 서울의 경계는 교통, 생활권, 가격 측면에서 점점 흐려지고 있으며, 경기도 핵심지의 부동산 가치가 서울 비강남권과 대등하거나 더 높아지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시세는 강남구, 서초구, 용산구 순으로 가장 높으며, 중상위권은 성동구, 광진구, 송파구, 마포구 등이 차지합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고가권(강남·서초) 약 7,000만 원/3.3㎡ 광교 신도시 등 약 6억 원/평 수준 (3.3㎡ ≈ 2.475평)

    ,중산층권(용산·송파) 5,200–5,400만 원대 광교 신도시 수준 또는 다소 높음

    ,중저가권 이하 성동·마포 등 4,000만 원대 대부분 경기도 평균보다 높음

    ,저가권(노도강) 2,000–3,000만 원대 경기도 신도시보다 낮거나 비슷

    경계가 없다는 주장은 서울 저가권과 경기도 고가 신도시의 시세 격차가 좁아진 데서 나온 말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강남·서초 등 초고가권과 경기도는 여전히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 아파트 시세 평균 순위 1위는 서초구 이며 그 다음으로 강남구, 송파구, 용산구, 성동구, 마포구, 광진구, 동작구, 영등포구, 양천구 이렇게 탑 10 입니다.

    말씀처럼 서울과 경기도의 경계는 행정적으로는 구분이 되어 있지만 생활권과 부동산 시장에서는 그 경계가 점차 흐려지고 있다고 분석되는 의견들이 높아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