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룸은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 것인가요?
화장실 외에 방의 구분이 없으면 원룸, 방이 하나 더 있으면 투룸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원룸과 투룸 사이에 있는 1.5룸은 어떻게 정의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1.5룸은 거실이 있는 원룸을 말합니다
부억은 보통거실에 있으니 부엌과 거실사이에 문이 있거나 없거나 거실이 있고 방이 있으면 1.5룸 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원룸인데 거실과 분리된 작은방이 하나 있는 구조를 1.5룸이라고 합니다. 흔히 미니투룸이라는 뜻으로 미투로 부르기도 합니다. 반면 정투는 흔히 말하는 투룸을 말합니다. 주방/거실을 제외하고 별도 구분된 방 2개의 구조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1.5룸의 경우는 방하나에 거실이 추가된 경우를 말합니다. 거실이라고 해서 아파트처럼 넓은 공간을 추가로 넣은 것이 아닌 방이 있고 그 외에 공간을 거실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거실에는 주방이 같이 딸려 있는 경우가 있으며 주방만 분리를 해도 침실에 음식 냄새가 베지 않아서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원룸은 한 공간에 침실과 주방등이 별도 구분없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원룸을 생각히시며 됩니다, 이에 반해 1.5룸은 침실과 주방에 대한 구분이 있는 것으로 쉽게말해 방문이 있어 침실과 주방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즉 실내에 들어갔을때 침대가 눈에 들어오는 구조는 원룸, 방문이 있고 침대등이 방안쪽에 배치되어 실제 현관에서는 주방과 거실만 보이는 구조는 1.5룸입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화장실 외에 방의 구분이 없으면 원룸, 방이 하나 더 있으면 투룸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원룸과 투룸 사이에 있는 1.5룸은 어떻게 정의되는 것인가요?
==> 1.5룸은 원룸이지만 방과 싱크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이 나누어진 곳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신기백 공인중개사입니다.
1.5룸은 원룸과 투룸의 중간 형태로, 메인 룸 하나와 작은 추가 공간 하나로 구성됩니다. 추가 공간은 침실, 서재 등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벽이나 파티션으로 구분됩니다. 이로 인해 원룸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투룸처럼 명확히 두 개의 방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1.5룸의 경우 방과 거실 및 부엌이 분리되어 있는 공간을 말합니다. 원룸의 경우 이러한 구분이 없이 방 하나에 거실과 화장실 주방 등이 한곳에 있는 반면 1.5룸은 나름 구분짓게 나눕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주방과 거실이 있고 방이 분리되어 있는 구조 입니다.
단순 부엌과 방이 중문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는 분리형 원룸이라 칭하고
어느정도 부엌과 거실이 있으면서 방이 하나 더 있으면 1.5룸으로 칭합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1.5룸의 경우 방 하나에 거실이 추가 된 개념입니다.
거실이라고 해서 아파트처럼 넓은 거실이 아닌 방 하나와 거실같은 공간 하나가 더 있다는 뜻 입니다.
주방만 불리해도 침실에 음식냄새가 베지 않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정확하게 1.5룸을 정의하기 애매할 수 있습니다. 설명드리자면 분리형원룸(방과 씽크대있는 곳이 문으로 분리를 시켜 둔 형태)보다 씽크대있는 공간이 더 크고 투룸보다는 작은 형태입니다. 모든 1.5룸의 크기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