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가 왜 입주물량이 모자를까요?
우리나라인구는 계속 줄고있다고 심각한수준이라는데 왜 아파트는 항상 입주물량 적어서 더지어야한다고 하고 가격은 올리고 이게맞나요?
우리나라인구는 계속 줄고있다고 심각한수준이라는데 왜 아파트는 항상 입주물량 적어서 더지어야한다고 하고 가격은 올리고 이게맞나요?
==> 우리나라도 인구는 감소하고 있지만 대도시 주변으로 나홀호 세대가 증가되고 있기 때문에 대도시 위주로 공급물량이 부족한 것이 현실입니다.
아파트 입주물량이 부족한 이유는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로 인해 신규 아파트 건설이 감소했습니다.
건설사들은 수익성이 높은 대형 아파트나 고급 아파트 건설에 집중하고 있어, 소형 아파트나 저렴한 아파트의 공급이 부족합니다. 인구가 증가하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아파트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젊은 세대들은 아파트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면서, 아파트 구매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아파트 건설 업체들은 아파트 가격을 인상하고 있습니다. 아파트 입주물량이 감소하면서 전월세 시장이 불안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월세 가격이 상승하고, 세입자들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인구가 줄고 있지만 가구 수는 1인 가구 증가 등의 이유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방은 공급을 많이 해서 입주물량이 많고 부족한부분은 서울입니다
서울은 공급할 땅도부족하고 인구는 중심지로 더모여서 재개발이나 재건축으로 공급을 해야 하는데 요즘처럼 뭐든 오른 상태에서는 멈춰있는 상태입니다
26년도부터는 입주물량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때부터 더오른다고 전문가들은 내다. 보고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서울과 수도권에는 각종 편의시설이 설치되고 교육시설, 공공기관, 교통시설, 판매시설, 문화시설 등등 사람에게 필요한 모든 것이 설치되어 그와 관련한 수많은 일자리가 생기고 다양한 수요와 다양한 공급이 발생하고 제공되어 왔습니다.
일자리를 찾아 많은 사람들이 유입되었지만 아직도 열악한 환경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고 1~2인 가구의 증가로 주택의 수요는 여전히 많습니다.
지방의 경우는 투자도 적고 시설도 미비하여 일자리와 즐길거리를 찾아 젊은이들은 도시로 떠나가는 상황이 계속되니 인구는 줄어들고 주택은 인기지역을 제외하고는 남아돌게 되고 있습니다.
최근의 분양가 상승은 수요가 늘어서가 아니라 분양가상한제 해제에다가 건설사의 채산성 악화 (원자재, 인건비 상승, 금리 인상, 미분양 등 실적악화)를 만회하기 위한 조치로 인한 영향이 큽니다.
현재 수도권으로 인구가 집중 되다 보니깐 수도권은 아파트 공급이 부족하다고 하고 지방은 인구가 수도권으로 전출을 많이 가서 공급이 많아서 미분양이 일어 나고 있다고 합니다. 지금은 유가상승, 건설 원자재 가격의 상승과 고금리로 인한 대출이자 증가등이 분양가에 영향을 주어 분양가가 높게 나오고 있습니다. 앞으로 정부에서 인구 세대 및 가구 대비 필요한 적절한 공급 조절을 잘해야 될 듯 사료 됩니다.
인구감소에 대한 심각성이 높아진것은 사실이나, 현재 이러한 영향이 바로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쉽게 현재 태어난 신생아가급격히 줄었다면 이러한 아이들이 성장하여 사회활동을 하는 20년뒤에 실제 사회적 결과로 나타나게 됩니다. 즉 인구감소를 나타내는 현재 수치가 실제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10~20년뒤에 본격화되기 때문에 현재 주택공급을 무조건 줄이는것은 문제가 될수 있습니다. 그리고 신축 아파트의 분양가 상승은 공급이 적기에 발생하는 이유가 아닌 원자재 상승과 물가인상등에 따른 건축비용증가로 인한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