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제외하고 전세제도를 시행중인 나라가 있는지?
안녕하세요. 한국은 전세 제도가 정말 크게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매월 월세로 지출되는 것이 아니라 전세가 정말 훌륭하다고 생각하는데요. 한국이외에도 다른나라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볼리비아와 인도가 있습니다, 인도의 경우 전세제도가 우리나라 전세제도와는 결이 살짝 다르고 실제 사용비중도 높지 않기에 사실 있긴 하지만 비교대상이 아니고, 볼리비아가 그나마 우리나라와 가장 유사한 전세제도가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볼리비아의 경우 전세만기후에 임대인이 보증금등을 반환하지 않으면 주택소유권을 임차인에게 넘겨준다고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의 전세 제도는 독특한 형태의 주거 금융 시스템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는 국가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전세는 임차인이 거액의 보증금을 임대인에게 맡기고, 임대인은 이를 투자나 부동산 대출 상황에 사용하는 독특한 금융 시스템으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세입자가 거액을 지불할 여력이 없거나 이런 제도를 유지할 금융 시장 환경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대부분 국가에서는 임대 시장이 월세 중심으로 운영이 되며 보증금은 소액으로 제한이 되고 있습니다. 임대료를 월 단위로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임차인은 거주 기간 동안 재정적 부담을 분산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국은 전세 제도가 정말 크게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매월 월세로 지출되는 것이 아니라 전세가 정말 훌륭하다고 생각하는데요. 한국이외에도 다른나라가 있을까요?
==> 현재 전세제도를 시행하는 국가가 한국을 제외하고는 없지만 유사한 제도가 일본, 대만에 있습니다. 일본에는 사쿠하쿠제도가 있지만 한국과 큰 차이가 있고, 대만은 보증금 형태로 임대하는 방식이 있지만 한국과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제도가 있는 곳은 제한적인데,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페루와 인도의 일부 지역에도 있습니다. 볼리비아의 안티크레티코는 보증금만 있고 월세가 없는 형태이고 2년의 기준 계약기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 금융체계가 취약한 나라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세기 개화기에 많은 외국인과 농촌인구가 도시지역 이동하면서 주택수요가 증가하여 지금과 비슷한 제도로 발전되었는데, 당시 부동산 관련한 금융 시스템이 없어서 주거를 마련해가는 시스템으로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게 되고, 주택 가격이 계속 상승함에 따라 월세보다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해주는 전세의 장점이 두드러지다 보니 지금까지도 전세 제도가 이어져 오고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볼리비아나 인도에서 전세가 있었으나 그나라도 거의 시행을 안하고 우리나라만 시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전세사기와 대출이자가 높은 이유로 반전세나 월세로 많이 찾고 있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아예 없습니다. 전세제도는 전세계적으로 우리나라만 있는 제도이며 외국인들은 이해할수없는 제도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사실 전세제도는 우리나라만 시행을 하는 것 처럼 보이지만 엄밀히 따지면 인도나 볼리비아도 전세제도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 나라들은 금융시스템이 미비해서 전세제도를 운영을 하고 있고 우리나라처럼 금융시스템이 고도화된 나라에서 전세를 운영하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에만 있는 유일한 제도가 전세제도 입니다.
다른 나라는 월세가 일반화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과거 금융이 발달하지 않아 임대인은 목돈이 필요하고 임차인은 거주의 안정이 필요한 상태에서 서로의 이해관계가 맞아 발달하게된 제도가 전세제도 입니다.
이제는 법적으로 보호를 받고 있기 때문에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있는 유일한 제도가 전세제도 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