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부동산 경기가침체되면 전세가격은 어떻게될까요?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 매매뿐아니라 전세시장에도 영향이 간다고 들었어요. 전셋값은 보통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나요?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가격이 결정이 됩니다.

    예전 부동산 급등 시기는 금리가 낮고 부동산이 상승을 하자 대출을 활용한 투자로 인해서 거품이 끼기 시작을 하여 부동산 시장이 좋았던 시기는 매매가나 전세가 둘다 같이 상승을 하였으나 금리를 올리면서 본격적인 긴축정책을 하자 거품이 사라지면서 결국 매도세가 늘게 되고 매매가격이 폭락을 하자 역전세가 일어나고 전세가격도 동반 하락을 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즉 부동산 상승기에는 매매가, 전세가는 상승을 하고 반대로 하락기에는 매매가도 전세가도 하락을 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권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 전반적으로 매매가는 크게 하락하게 되는데요

    주로 경기 침체는 대개 금리 인상, 거래량 감소, 공급 과잉, 경기 불안 등으로 나타납니다.

    매수심리가 꺾이고 매매가가 하락하면 그에 따른 전세 시장에도 당연하게도 연쇄적 영향을 주게 되구요.

    왜 전세가 같이 떨어지냐면요 전세 수요가 줄기 때문이에요

    경기침체 때는 사람들이 집을 사려는 수요도 줄지만, 이사·전세 이동도 함께 줄어들어요.

    그로인해 집주인은 세입자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 오고 전세 보증금을 낮춰서라도 공실을 피하려고

    어떻게든 계약하여 다음 세입자를 맞추려고 하거든요..

    또한 전세에서 반전세 또는 월세로 전환하는 경우도 늘어나는데

    금리가 오르면 집주인들은 당연히 월세를 더욱더 선호하게 되고

    세입자 입장에서도 대출금리가 오르면 전세보다는 월세를 선택하거나,

    반전세로 가격을 낮춰 거주하게 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전세시세는 주택가격 흐름과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만약 질문의 전제처럼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고 그에 따라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 전세시세도 하락하는 모습을 나타내게 되고, 이를 통해 일정한 전세가율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단기적으로 주택가격하락이 바로 전세가격 하락으로 나타나지 않을 수는 있는데, 중장기적으로는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게 됩니다. 그리고 특정 입지에 따른 임대차 수요가 높은 지역의 경우라면 부동산 경기침체와 가격하락에도 전세가격은 다른 방향으로 이동될 가능성은 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 매매수요가 줄고 그에 따라 전세 수요도 줄어들게 됩니다. 금리가 높거나 경기가 불안하면 매매를 안하려는 사람들은 많아만 동시에 이사, 이전도 껄는 경우도 많습니다. 신규 전세 수요 자체가 줄어들어 전세값이 하락합니다.

    경기가 안 좋은 땐 입주폭탄이 겹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전세 물량이 급격히 늘어남 -> 공급증가->가격 하락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집을 팔기 못한 집주인들이 전세로 돌리거나 전세 연장을 유도하여 전세 물건이 늘어나 임대료 협상력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게되면 매매가격이 하락할 수 있고 그에따라 전세가격도 힘을 잃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매매가 어렵기때문에 전세나 월세를 구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수요증가로 인해 전세나 월세 가격이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정부의 정책이나 금리, 환율, 경기 상황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기에는 매매가가 하락하면서 전세가도 같이 내려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만, 전세 수요가 많거나 매출이 부족하면 전세가는 상대적으로 덜 빠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전세가가 하락하면 전세 대출 가능금액도 줄어들어 세입자에겐 불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사람들이 집을 사려는 수요가 줄어들면, 상대적으로 전세 수요는 늘어날 수도 있고

    매매가 안 되니 집주인들이 집을 팔지 못하고 전세로 돌리는 경우가 많아져 공급이 늘어나 전셋값 하락 요인이 될수도 있고

    경기 침체가 심하면 이사 자체를 미루거나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도 생기므로, 수요가 줄면서 전셋값이 더 떨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부동산 규제 강화로 실거주만 허용되고 전세 끼고 사는 갭투자가 어려워질 경우, 전세 공급이 줄어들면 가격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또는 금리가 너무 올라서 매매보다 전세가 경제적일 경우, 수요가 증가해 전셋값이 오를 수도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과 지방, 신축과 구축 간의 격차도 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경기침체 시 전세가격은 대체로 하락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다만 공급 부족이나 대출규제등으로 특정상황이 생길경우 전세가격이 오를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3년 하반기에는 수도권과 일부 지방에서 전세매물이 줄고, 전세대출 금리가 낮아지면서 전셋값이 반등하는 현상도 나타났습니다.

    2025년 이후 공급 부족이 예상되는 상황에서는 전세가격이 오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영주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 시 매매 시장 뿐만 아니라 전세 시장도 영향을 받는 다는 말씀이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부동산 경기 침체기에 전세 가격이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는 데 몇 가지로 살펴 보겠습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 시 전세 가격 동향 ===>

    1. 초기 하락 또는 안정 화 경향 :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 매매 심리가 위축되고, 이는 전세 시장에도 영향을 미처 전세 가격이 하락하거나 안정 화 되는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2022년 하반기 이후 전세 가격이 하락세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요인 때문입니다.

      • 매매 수요 감소 :

        집값이 하락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매매를 미루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전반적인 시장 침체 분위기 속에서는 전 세 가격도 함께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금리 인상 영향 :

        경기 침체기에 금리가 인상되는 경우, 전세 자금 대출 이자 부담이 커져 전세 수요가 월세로 전환되면서 전세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2. 전세가 율 상승 및 전세 수요 증가 가능성 :

      하지만 침체가 장기화되거나 매매 가격 하락 폭이 커지면, 오히려 전세 가격이 상대적으로 견조 하거나 상승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매매 대신 전세를 선택하는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 매매 관망세 심화 :

        집값 하락에 대한 우려로 매매를 포기하고 전세로 머무르려는 수요가 증가합니다.

      • 전세가 율 상승 :

        매매 가격이 전세 가격보다 더 크게 하락하면서 전세가 율(매매 가격 대비 전세 가격 비율)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나중에 매매 전환 수요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 금리 인하 시 전세 가격 상승 압력 :

        만약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가 인하된다면, 전세 자금 대출 이자 부담이 줄어들어 전세 수요가 다시 늘어나고 전세 가격이 상승할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전세 시장의 리스크 확대 :

      경기 침체기에는 '역 전세'나 깡통 전세와 같은 전세 시장의 리스크가 확대 될 우려도 있습니다.

      • 역 전세 :

        기존 전세 계약 만기 시점의 전세 시세가 계약 당시보다 낮아져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돌려주기 어려운 상황을 말합니다.

      • 깡통 전세 :

        주택 매매 가격이 전세 보증금보다 낮아지거나 비슷해져, 집이 경매로 넘어가더라도 임차인이 보증금을 온전히 돌려받지 못할 위험이 있는 상황입니다.

    결론적으로, 부동산 경기 침체 시 전세 가격은 초기에는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으나, 매매 관망세 심화나 금리 변동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상대적으로 견조하거나 상승하는 복합적인 양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시기에는 역 전세나 깡통 전세와 같은 전세 시장의 리스크가 커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