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금리가 오르면 왜 부동산 시장이 하락하는건가요?

뉴승에서 금리가 오르면 부동산시장이 얼어붙어서 하락세라는데 단순하게 대출때문에 부동산시장이 하락되는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에대한 수요가 많으면 (부동산을 사려는 사람이 많으면) 가격이 올라간다는 전제하에 고가의 부동산을 구매하기 위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출 등을 활용하여 부동산을 구매하게 되는데, 금리가 높으면 지불해야 하는 이자가 많아져 부담이 되므로 부동산을 사려는 사람이 적어지고 수요가 적으니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고, 반대로 금리가 낮으면 이자 부담이 적으니 부동산을 사려는 사람이 많아져서 수요가 늘어나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실제 시장은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와 같이 단순하게 작용하지는 않지만 금리가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큰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통상적으로 금리가 상승을 하게 되면 대출이자에 대한 부담이 커지므로 매도 매물이 쌓이게 됩니다. 즉 매수세보다 매도세가 많아지면서 부동산 가격이 하락을 하는 것이고 반대로 금리가 인하를 하게 되면 대출이자에 대한 부담이 적으므로 대출을 활용을 해서 집을 매수할려는 매수세가 많아지면서 부동산 가격이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금리가 오르게 되면 대출시 대출금리가 오르게 되고, 그에 따라 대출원리금에 대한 부담이 커지게 됩니다. 보통 부동산 구매시 자금조달을 위해 대출을 이용하게 되는데, 금리의 상승은 이러한 담보대출시 원리금의 증가로 나타나게 되고 그에 따라 대출을 통한 부동산 구매심리가 감소하고 수요가 줄게 됩니다. 시장에서 수요가 줄어들게 되면 가격도 하락하게되는게 일반적입니다. 또한 기존 대출이용자들의 경우 금리가 갑작스레 상승되는 경우 원리금부담이 커지게 되면서 현보유주택을 시장에 매물로써 내놓게 되고, 이러한 경우 공급은 늘어나게 되는 것과 같으므로 결국 금리상승은 수요감소와 공급증가로 이어지고 시장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대출이자 부담이 높아지면서 실수요자 구매력은 낮아질 수 있습니다. 투자수요도 줄고, 매매, 전세 모두 위축됩니다.

    결국 금리 상승은 수요감소로 인해 가격 하락 요인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금리가 오르면 잠재적 매수층은 금리 부담으로 주택매수를 연기하거나 포기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거래량은 줄어 들게 되고 가격은 하락합니다

    더구나 최근 주택담보대출 규제( 6.27규제)마져 통제하고 보니 수요충이 감소하게 됩니다 최근 강남3구 마져 아파트 가격리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아파트가격은 서민 입장에서 너무 높다 보니 자기자본으로는 매수하기어렵기 때문에 금융권을 방문하게 되는데 대출마져 규제하고 보니 내 집 마련의 꿈은 점점 멀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금리의 동향과 아파트 거래량 및 가격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집을 살때 대출을 받습니다

    금리가 오르면, 대출 이자가 올라가서 매달 갚아야 할 돈이 많아져서 집을 사려던 사람들이 집을 못 삽니다

    그러면 수요가 줄어서 거래가 감소하고 가격이 하락할수 있습니다

    이미 집을 산 사람들도 변동금리의 대출이면 이자가 올라가서 매달 갚는 돈이 늘어나 생활이 빠듯해집니다

    그래서 급하게 집을 팔려고 내놓는 사람들이 생기고, 그러다보면 가격이 더내려갈 수 도 있습니다

    지금은 대출이자보다 대출한도를 줄여서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있는 상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린다면 금리가 오르면 대출 이자 부담 증가로 수요가 감소되며 그로인해 수요자들의 거래가 부동산 시장 하락으로 이어집니다.

    그 외에도 건설 비용 상승이 신규 공급 위축 등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금리가 오르면 부동산 시장의 수요가 감소합니다. 예를 들어 집 값이 전세 3억이고 내가 2억 대출을 받는다면 금리가 3%일 때 연 600만 원 이자가 나가고 6%일 때 1,200만 원 이자가 나갑니다.

    따라서 집 사려던 사람들이 위축되고 특히 실수요 + 갭투자자들 모두 부동산 매수를 꺼려하게 됩니다.

    하지만 부동산 가격은 금리 하나 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대외 변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속단하기는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