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에 들어가는 비용이 얼마나들까요
결혼을 하는데 돈이 많이 든다고들 하는데요. 한번뿐인 결혹식이지만 돈이 많이 들어간다는게 이해가 안가서요. 평균 얼마나들까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결혼식도 과정상에서 어떠한 것을 선택하고 어디서 결혼을 하는지에 따라 비용이 차이는 커지게 됩니다, 가장 흔하게 하는 컨변션 웨딩의 경우 평군 2500만원~3000만원(250명기준, 대관료,식대, 스드메포함)이고, 호텔웨딩의 경우 최소 5000만원이상은 예상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결혼식에 들어가는 비용은 천차만별이라 정확하게 답변드리기 어렵습니다.
예식을 호텔에서 하냐, 컨벤션 센터에서 하냐에 따라서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일반적으로 예식장 및 식대가 2천만 원 정도 든다 생각하시면 되고, 스드메, 500만 원, 예물 1,000만 원, 예단 500~1000만 원, 신혼여행 700만 원, 혼수 3000만 원 정도 든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결혼 비용 중 신혼집이 가장 크게 차지하는데 보통 2~3억 정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결혼식 비용은 규모에 따라서 가격 차이가 나게 됩니다.
즉 하객의 규모에 따라서 작은 웨딩홀로 할지 또한 하객이 많을 경우 호텔 대연회장으로 할지에 따라서 가격이 다다릅니다. 우선 하객 규모를 먼저 산정을 하시고 인별 식대로 계산을 해보시고 그 규모에 맞는 웨딩홀을 선정을 해서 대관료등을 비교를 해보시는 것이 우선이고 스드메 즉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의 비용도 각기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스튜디오 100~200만원, 드레스 100~200만원, 메이크업 50~100만원 정도 예산 잡으시면 됩니다.
그 외 신혼여행 경비도 미리 예산을 잡으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예식비용은 대략 5백만원 순이며 예물은 1천만원, 결혼식 1.5천만원, 신혼여행 5백만원 이상 들어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5천만원정도는 비용을 계산하셔야 넉넉할 것이라 봅니다.
결혼을 하는데 돈이 많이 든다고들 하는데요. 한번뿐인 결혹식이지만 돈이 많이 들어간다는게 이해가 안가서요. 평균 얼마나들까요?
===> 결혼식 비용은 어느 곳에서 어떠한 이벤트를 가지고 진행하느냐에 따라
판단되는 사항이지만 통상 2400만원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결혼비용은 약 5,000만 원 ~ 1억 원 수준의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다만, 양가 부모님 지원 여부, 하객 수, 혼수 여부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체면,예의를 의식해 스펙을 과하게 잡는 경우가 많고 하객 수에 따라 식대가 증가 하고 혼수는 선택사항이지만 여전히 큰 비중이라고 합니다
요즘은 예식 없이 스몰웨딩, 스냅촬영만 하는 커플도 많다고 합니다 (비용은 수백만 원 내외)
결혼은 어디까지 하느냐에 따라 비용이 수백만 원부터 1억 이상까지 차이가 납니다
결혼이 돈이 많이 든다는 말은 전체 이벤트를 다 치렀을 때 기준이기 때문에, 소박하게 진행하면 얼마든지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막연하게 “결혼식은 돈이 많이 든다”라고만 들어서, 실제 어느 정도인지 감이 안 오는데요.
제가 2025년 현재 한국 기준 평균 결혼 비용을 항목별로 정리해드릴게요.2025년 한국 결혼 비용 평균 (예식+혼수+신혼집 포함)
예식장+식대+부대비용 : 약 2,000만~3,000만
웨딩드레스/메이크업/사진 : 약 300만~500만
예물 : 약 300만~500만
예단 : 약 300만~500만
혼수 (가전·가구) : 약 2,000만~3,000만
신혼여행 : 약 300만~600만
신혼집 마련 (전세/매매) : 최소 2억~5억 이상
기타 (답례품, 폐백 등) : 약 100만~300만
총합: 결혼식+혼수+신혼여행만 해도 최소 4,000만~7,000만 원 선
여기에 신혼집 비용까지 하면 수억이 들어가는 거죠.그런데 왜 그렇게 많이 드는 걸까요?
결혼식은 보통 가족, 친척, 회사, 친구 등 지인 초대를 전제로 하다 보니
예식장 대관비 + 식대(인당 5만~7만 원) + 부대비용이 필수로 들어가요.거기에
웨딩드레스, 메이크업, 촬영
양가 예물·예단
신혼여행
신혼집 가전·가구
까지 챙기다 보면 자연스레 수천만 원이 필요해집니다.요즘 추세는?
스몰웨딩, 셀프웨딩, 해외웨딩 등 간소화하는 경우도 늘고 있어요.
예를 들면예식 없이 혼인신고+가족식사 → 200만~500만 원
셀프웨딩+소규모 파티 → 300만~1,000만 원
이렇게 줄이는 부부도 많습니다.결론은?
결혼 비용이 많이 드는 이유는 예식+신혼집 마련비가 가장 크고,
한국의 전통적 결혼 문화(예단, 혼수, 예물, 양가 체면) 때문이에요.
그런데 요즘은 둘만의 방식으로 비용 최소화하는 커플들도 많이 늘어서
꼭 수천만 원 쓸 필요는 없다는 점도 참고하시면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