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간으로 아파트 값이 계속 오를까요?
조금은 떨어졌다 하지만 아직 서울의 아파트 값은
높은편 같은데요
장기간으로 봐도 계속 상승할까요
아님 일본의 전철을 밟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지난 1~2년간 부동산 침체에 따라 가격이 크게 하락되었지만 최근에 서울 수도권 아파트가격도 거의 회복되어 가고 있는 중입니다. 그에 따라 일본과 같은 경험을 할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다만 현재그렇다는 것이지, 아직 주변 상황들이 개선된 부분은 없기 떄문에 향후 어떨지는 정확히 답변드리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경험을 통해 배우게 되는 것처럼 주변국인 일본의 케이스를 너무나 잘 알고 있다는점과 당시의 상황과 지금의 상황에서도 큰 차이가 있어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의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그보다는 현재 우리나라 내부의 인구감소세가 매우 심각한 점과 가계부채가 매우 심각한 점, 실질소득의 감소에 따른 중산층 붕괴와 주택양극화문제는 향후 우리나라 부동산 위험요소로 남아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의 아파트 값은 경제상황이나 건설경기에 따라 부침이 있을 수는 있지만 지속적으로 수요가 많기에 상당기간 동안 상승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본과 같은 특이 상황 (프라자합의)이 닥치지만 않으면 일본과 같이 급격한 하락은 오기가 힘들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은 공급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올해나 내년에는 입주물량이 조금있는데 26년도에는 입주물량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때는 더오를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는데 정부에서는 집값이 계속오르니 대책으로 그린벨트를 풀어서 공급을 하겠다고 하는데 몇년은 걸려야 하는데 그사이가 문제일거 같습니다
또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수도귄 특히 서울 지역아파트가 꿈틀거리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매스캄에서도 최고가 아파트매매가 활발하다면 부채질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지방의 아파트 분양시장은 미분양
사태로 부동산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현실니다
따라서 서울지역의 아파트 값은 년말 대출 금리인하 예상과 맞물려 상승 국면을 예상합니다 그러나 인구감소의 지방현실은 지켜봐야할 것으로분 석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는 10년을 주기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면서 결국은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도권의 경우 주택 필요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서서히 상승을 하고 있지만 지방은 미분양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즉 양극화가 심화될 가능성은 있어 보입니다.
지방의 인구 소멸이 가속화 될 경우 수도권만 부동산 상승이 되고 지방은 정체될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본도 대도시는 계속해서 오름세입니다.
우리나라 서울도 지방에서 올라오는 사람들로 인해 주택공급이 원활치 않아 수요로 인한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물가도 계속해서 오를 것이며, 부동산도 계속해서 오를 것입니다.
우리가 선호하는 모든 재화나 물품은 물가 상승률에 따라 가격이 올라갈 수 밖에 없습니다.
자본주의는 물가 상승을 전제로 유지가 되는 제도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의 장기적인 전망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서울 아파트 가격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전문가들은 서울 아파트 가격이 단기적으로는 하락할 가능성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다시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부동산 버블과 비교해보면, 일본은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부동산 가격이 급등한 후, 버블이 붕괴되면서 장기간에 걸쳐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일본의 경우, 경제적 요인과 정책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서울의 경우도 경제 상황, 정부 정책, 인구 변화 등의 요인이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전망을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현재의 경제 상황과 정책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다시 거래량이 줄고있고 고금리 지속가능성, 혹은 경기침체에 의한 금리인하라는 불안감등 글로벌경기침체 조짐이 있어 큰변동성이 예상되는 상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