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부동산

가즈아인생살이
가즈아인생살이

부동산에서 임장간다는 말에서 임장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부동산에서 말하는 임장은 부동산 투자를 위해서

미리 그 지역을 가보는 것을 임장이라고 하는데

임장이란 말은 어디에서 유래된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임장의 유래보다는 임할임,마당장의 한자로 사전적의미는 어떤일이나 문제가 있는현장에 나옴 입니다

    부동산 임장은 그집의 주변환경,인프라,학교,제반시설등 입지와 분위기를 전반적으로 살피는 사전답사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임장은 현장에 임한다(나오다)는 뜻의 한자어에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발품을 팔다 혹은 방문하다로 순화할 수 있습니다.

    일본 작가 요코야마 히데오의 소설 임장과 동명의 드라마등 일본에서 많이 사용되어 일본식 한자어라는 오해가 있지만

    한중일 모두 사용되는 말로 사용방법의 차이가 있습니다. 일본에서 임장은 현장을 뜻하는 명사로 중국에서 임장은 현장(시험,경기등) 나간다(치른다.임한다)등의 동사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임장은 한자어 입니다. 임장이란 뜻은 현장에 임하다란 뜻으로 직접가서 본다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부동산에서 임장간다는 말은 실제로 물건이 위치한 현장에 직접가서 상태를 점검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임장"이라는 용어는 "임장(臨場)"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입니다. "임장"은 한자로 "임(臨)"과 "장(場)"이 결합된 말로, "현장에 나가다" 또는 "현장에 임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부동산 투자에서 임장은 특정 지역이나 물건을 직접 방문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시장 상황, 주변 환경, 교통, 인프라 등을 조사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임장’이라는 단어는 한자어로 '현장에 임한다’는 뜻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부동산에서 '임장’은 부동산 투자를 위해 해당 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현장을 확인하고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터넷이나 다른 매체를 통해 얻을 수 없는 현장 정보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 중요한 과정입니다. 부동산 임장을 통해 주변 환경, 교통, 학군, 편의시설 등을 직접 눈으로 보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임장(臨場)은 "어떤 일이나 문제가 생긴 현장에 나온다"는 뜻이며, 부동산 용어로는 "부동산이 있는 현장에 직접가서 확인하는 활동"을 뜻하는 한자어 입니다. 부동산을 사려고 할 때 해당 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현지 상황을 직접 확인하는 것으로서 발품을 판다고도 합니다. 지도상에서 볼 수 없는 현지 상황 - 경사도나 주변 인프라의 배치 상태와 분위기 그리고 실물 부동산의 상태 등 - 을 살펴볼 수 있어 인터넷상에서의 데이터와 다른 모습을 살펴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에서 말하는 임장은 부동산 투자를 위해서

    미리 그 지역을 가보는 것을 임장이라고 하는데

    임장이란 말은 어디에서 유래된 말인가요?

    ==> 부동산에서 임장이라는 용어는 현장에 직접 나가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실제로 해당 지역에 방문해서 물건을 직접 보고 판단하는데 사용되는데 유래는 부동산 중개가 시작된 조선시대부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