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최근 부동산 시장이 일부 핵심지역만 크게 상승하는 모습이 보일까요

예전에는 부동산 시장 상승 사이클이 시장 전반으로 온기가 불었는데요

지금은 부동산시장이 일부 핵심지역만 크게 상승하는 흐름을 보이는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그러한 상황이 발생되고 있기에 현재 부동산 사이클상 회복기로 보기 어렵다고 하는 전문가들 의견이 많습니다, 즉 상대적으로 서울,수도권 그중에서도 아파트 가격대만 오르고 있기 때문에 사이클상 회복기 시작이 아닌 회복기를 위한 선제적인 움직임정도로 보기 때문에 아직은 시간을 가지고 시장변화를 지켜봐야 하는 상황입니다. 만약 여기서 추가적으로 지방이나 서울수도권내 빌라와 같은 대체주택까지도 가격이 상승세로 돌아서고 금리등이 인하된다면 그때는 사이클상 회복시기로 볼수 있을듯 합니다.

  • 예전에도 시장 전반으로 부동산 상승 분위기가 퍼지기 전에는 늘 수도권 먼저 그 분위기가 안 나타납니다.

    수도권에 열기가 풍선효과를 타고 점점 멀리 퍼지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급과 인구유입이라고 봅니다

    서울은 인구밀집지역인데 토지 면적은 한계가 있는데 재계발 재건축으로 공급을 해야되는데 많이 못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서울과 수도권은 전세가부터 오르더니 매매로 전환이 됐는데 사려고 하는 사람은 많은데 매물이 없으니 가격이 오를수밖에 없습니다

    많이 매매가 됐고 가격이 오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지금은 부동산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유는 좋은 주택은 한정적이고, 또한 정부 규제에 대한 영향도 있고,

    똘똘한 한채 말고는 다주택에 대한 부담으로 대부분 매도를 할려고 합니다. 그러한 이유로 똘똘한 한채 즉 좋은 매물은

    인기가 좋고 사람들이 몰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안좋은 매물은 찾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상황만을 놓고 본다면 금리와 경제상황 등이 좋지 않아 집값은 일부 핵심지역을 위주로만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지만 전세물량 부족으로 전세가가 계속오르고 있고 신규 분양가도 상승하고 있어 집값 상승의 여건들이 만들어 지고 있으며, 서울의 인기 지역 중심으로 집값이 오르고 있으나 지방은 기존 미분양 물량이 해소 되지 않는 등 고금리, 고물가에 PF부실로 인한 건설 사업의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있으어 지역별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는 상황으로 당분간은 현상황에서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내년 이후 금리와 경제 여건이 개선되면 점차 서울과 수도권 위주로 집값 상승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지방은 지역에 따라 다를 것으로 생각되며 정부의 특별한 대책이나 경제상황의 반전 등이 없으면 예전 같은 불장은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부 핵심지역은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아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고 교통, 교육, 문화시설 등의 인프라가 잘 발달되어 있고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아 부동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습니다.

    또 일부 지역에서는 투기적 요인이 작용하여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이 대한 정보가 빠르게 퍼져 핵심 입지가 어딘지 매수자들이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게 큽니다.

    전국에서 서울, 수도권을 매수하니 그 쪽이 가격이 오르는 건 당연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지역에서 재개발ㆍ재건축이 계획된 상태에서 국제정세 불안으로 원자재값이급격히 상승하다 보니 공사가 지연되거나 중단되면서 공급부족 현상으로 나타나면서

    부동산 심리지수가 되살아 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다구나 주택부지 공급부족은 그린밸트까지 제한적으로 풀려는고육지책이 현실적으로 노출되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는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집값이 오른다는 언론플레이와 금리인하 기대감등이 생기다보니 집값은 서울중에서도 일부 핵심지역부터 오르기때문에 먼저 선점하여 시세차익을 노려보려고 들어오는 수요가 늘어서 그런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용준 감정평가사입니다.

    부동산이 무조건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가 꺾이고 똘똘한 1채를 보유해야 한다는 사람들의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