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일주일에 4일 근무 한다는데 맞나요?
앞으로는 직장에서 일주일에 4일 근무 한다고 하는데 정책은 언제부터 시행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지금 현재 시행 되고 있는 공공기관이 있는지도 알려 주세요.?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주 4일제 근무가 현재 공공기관에서 시행되지는 않고 입법논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경제 상황 등을 검토할 때 도입시기는 미지수입니다.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
현재까지는 1주 4일 근무가 법으로 정해지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전라북도, 충청남도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1주 4일 근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주4일제의 도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시행계획이나 일자가 확정된 바는 없습니다.
현재 일부 회사에서는 유연근무제를 통해 주 4일제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근로기준법에 따라 1일 8시간, 1주 40시간이 여전히 법정근로시간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주 4일제 도입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공공기관은 충청남도는 2세 이하 자녀를 둔 공직자를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주4일 근무에 대해 논의는 있지만 구제적으로 시행할지와 관련해서는 확정된게 없습니다. 일부 공공기관 및 사기업의
경우 주4일 근무를 하고 있다면 해당 회사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경우이거나 임시적으로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슬기 노무사입니다.
현재 주4일제에 대해서는 논의가 시행되고 있으며, 지자체에서 시범사업 등으로 시행을 예정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아직 주4일제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며, 회사와 근로자간 합의 하에 근무일이 정해집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
주4일제는 실질적으로 공론화되지않았으며 극소수 사기업에서 시행하고 일부 국가기관에서 설문조사 수준만 진행했을 뿐입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주 4일 근무제 법제화에 대한 개정 논의가 있으나 아직 사회적 합의가 이루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
주4일 근무가 결정된건 전혀 없습니다
경제사정 볼 때 쉽지 않습니다
대책없이 저런말 하는건 그냥 포퓰리즘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일부 지자체에서 주4일제 한다고 홍보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주4일제가 아니라 하루를 육아를 위한 재택근무인 경우가 많습니다
"청주시청 회계과에서 근무하는 임은강 주무관은 일주일에 4일만 출근하고 하루는 집에서 근무합니다.
23개월 된 어린 딸 아이를 키우는 임 주무관은 청주시청이 실시하는 '주4일 출근, 1일 재택 근무제'를 통해 육아 부담을 덜게 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