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부동산 주간 매매가격지수 상승률이 다시 커진 이유가 뭘까요?
627 대책 이후로 줄어들던 서울 부동산 주간 매매가격지수 상승률이 이번주에 다시 상승률을 확대했더군요.
627 대책이 꽤 강력한 규제였지만 그럼에도 시장의 상승을 막기는 역부족이었던 거 같은데 서울 부동산 주간 매매가격지수 상승률이 다시 커진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수치상으로 질문처럼 지수자체는 상승되었으나, 이전과 비교해서는 상승폭이 계속 줄어들고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즉 6.27 대책에 따라 거래량이 감소되고 상승폭도 점차 둔화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고, 단순히 수치가 -가 아니라고 해서 해당 대책이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즉, 주간단위 비교시 상승폭이 이전보다 커지게 된다면 시장이 정부정책에 어느정도 적응이 되고 있다고 판단할수 있겠으나, 이전 주보다 점차 상승폭이 줄어들고 있다면 +라고 해도 시장내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는게 맞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아마도 6.27 대책의 한계가 드러나는 시점인 것 같습니다. 더불어 서울 부동산을 매매하고자 하는 수요를 완전히 잡지는 못한 모습입니다 .
최근 은행권 금리가 약간 상승을 하긴 했으나, 전반적으로 저금리 기조라서 부동산 자금 조달이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게다가 공급이 부족하여 수요는 쉽게 흩어지지 않는 모습이네요.
결론적으로 일부 매매가격 상승 둔화에 6.27 규제가 영향을 주긴 했으나 근본적으로 공급이 부족하고 실수요가 늘다 보니, 부동산 가격을 잡기는 쉽지 않아보입니다. 규제만으로는 부동산 시장의 가격상승을 막기 부족하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 주고 있지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6.27 대출 규제의 경우 수요 억제 정책입니다. 즉 대출 규제를 실시를 하게 됨으로써 대출 자금의 거래가 위축이 되어 단기적으로 거래가 위축이 되었지만 실제 호가는 소폭 하락하는데 그치게 되고, 오히려 대출이 없는 사람들의 경우 기회로 삼아서 매수를 하게 되고, 호가 또한 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속에 공급이 없다 보니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며 전반적인 수요는 위축이 되었지만 재건축 이슈 단지, 역세권, 학군 등 인기지역 위주로 상승거래가 체결이 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627 대책 이후로 줄어들던 서울 부동산 주간 매매가격지수 상승률이 이번주에 다시 상승률을 확대했더군요.
627 대책이 꽤 강력한 규제였지만 그럼에도 시장의 상승을 막기는 역부족이었던 거 같은데 서울 부동산 주간 매매가격지수 상승률이 다시 커진 이유가 뭘까요?
==> 우선적으로 6. 27 대책이 약발을 다하였다는 증거입니다. 현재로서 서울지역 주택을 추가적으로 공급하지 않고는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6.27주택덤보 대출 규제로 한동안 주춤하던 아파트 가격이 다시 상승 추세를 보이기 시작하는 요인은 2026년도 이후 공급량이 급감하는 통계와 앞으로 기준금리가 하락할 징후가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부에서 2026년도 이후 아파트 공급계획을 조속히 정리하여 투기세력들의 왜곡된 부동산 시장 교란을 사전 예방할 팔요가 있다고 봅니다
아울러 재건축.재갸발시 초과이익환수제를 아파트 상승가격에도 적용하여 알정수익은 인정하되 과도한 상승분은 초과수익으로 환수하는 제도의 도입이 부동산안정화에 도움이돠리라 생각헙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6.27 공급 대책 발표 이후 시장 불확실성 해소와 기대 심리 회복이 상승세 확대의 주요 원인입니다.
또한 금리 인하 기대감, 저가 매물 소진 등도 심리적 전환점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일시적 반등이지만 전반적 추세 전환 여부는 좀 더 관찰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7월 중순부터 시행된 강화된 DSR 규제(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에 앞서 대출 가능한 시기를 선점하려는 매수 수요가 많았고
특히 중저가 단지 및 외곽 지역의 실수요자들이 서둘러 거래를 마무리하려는 움직임이 많았습니다
627 대책은 양도세 비과세 요건 강화, 전매 제한 강화 등의 공급 억제형 규제가 중심이었습니다
단기 투기 수요 억제에는 효과적이지만,
실수요나 고가 아파트 매수 수요엔 직접적인 제동을 걸지 못했고 오히려 규제 발표 이후 거래가 일시적으로 줄자, 호가만 더 올라가고 가격이 단기 과열되는 일부 발생한 결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영주 공인중개사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6.27 대책은 주택 담보 대출 규제 등 시장 안정 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었지만 , 시장의 움직임은 여러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라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기도 합니다. 최근 서울 부동산 주간 매매 가격 지수 상승률이 다시 커진 이유를 몇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선호 단지 집중 현상 :
규제가 강화되면 전반적인 매수 심리가 위축되는 경향이 있지만 그 안에서도 재건축 이슈가 있는 단지나 역세권, 학 군 지 등 입지 조건이 뛰어난 선호 지역으로 매수 문의가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런 곳들은 실 수요는 물론 투자 수요도 여전히 유입되어 가격 상승률을 주도할 수 있습니다.
잠재 된 수요와 시장의 학습 효과 :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감은 여전히 강하게 작용합니다. 규제가 나와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시장이 이에 적응하거나,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으로 매물을 거두거나 매수 시점을 조율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일시적인 관망세 이후에는 가격 상승의 여력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다시 매수세가 붙을 수 있습니다.
제한적인 공급과 공급 기대감 :
서울 시내 신축 아파트 등 입주 가능한 주택 공급이 제한적인 상황은 여전히 견고한 수요를 지탱합니다. 여기에 특정 지역의 재건축, 재개발 등 미래 가치에 대한 기대감이 더해지면서 희소성 있는 매물에 대한 경쟁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경제 불확실성과 자산 방어 심리 :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 실물 자산이 부동산이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인식되어 자산을 보호하려는 심리가 여전히 강하게 작용하는 것도 한 가지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6.27 대책의 영향이 점차 줄어들고 시장의 내재된 상승 압력이 다시 표출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6.27 대책이 주택 시장 규제에는 효과를 냈지만 외부 변수에 비해 효과가 충분치 않았던 것 같습니다.
또한 국민들의 부동산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크고 대출 규제는 단기적인 하락으로 그칠 것이란 생각이 만연해 있어 앞으로 부동산 시장이 계속해서 상승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