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퇴근시간이후 근로시간 추가수당 지급되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당초 계약했던 근로시간보다 늦게 퇴근한다면 해당 시간에 대해서는 연장근로가 되므로 추가임금이 지급되어야 합니다.신고는 가능하나, 초과근로했다는 증빙이 확실히 있어야 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11.19
5.0
1명 평가
0
0
cctv로 감시 후 업무 지시하는 점장 신고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cctv로 근태관리를 하는 것은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은 별론으로 하고 직장내괴롭힘에도 해당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노동청 진정해보시길 바랍니다.증빙이 되는 자료를 확보하셔서 신고하셔야 유효합니다.
고용·노동 /
직장내괴롭힘
25.11.19
0
0
의류매장에서 1년 계약직으로 일하게 됐는데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근로계약서에 1년 계약이라 명시되어 있다면 기간 만료 전에 해고하는 것은 질문자님께 중대한 귀책사유가 없다면 부당해고가 됩니다. 만약 이유없이 해고한다면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노동위원회에 할 수 있습니다.또한 30일 전에 미리 해고를 하지않으면 해고예고수당도 발생합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5.11.19
0
0
1년 미만 근무자 결근시 급여계산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임금 삭감 방식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고 회사에서 정하거나 근로자와 협의했던대로 진행하게 됩니다. 예를들어, 153만원 x 1/30을 할 수도 있고(30은 해당 월 일수), 153만원 x 1/25 할 수도 있습니다.(25는 해당 월의 임금지급의 기초가 되는 일수) 또는 말씀대로 통상임금 계산해서 할 수도 있습니다.또한 결근을 했다면 해당주 주휴일이 발새하지않으므로 실제로 임금은 2일치가 빠져야 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11.19
5.0
1명 평가
0
0
미사용연차수당계산이 맞는지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미사용 연차가 있다면 퇴사 시 연차수당으로 지급되어야 하며 퇴사 후 14일 내 미지급 시 노동청에 진정할 수 있습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른 연차규정이며, 5인 이상 사업장만 해당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11.19
0
0
근로계약서 늦게 작성한것도 실업급여 귀책사유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근로계약서 미작성 시 근로기준법 제17조 위반이나, 일단 작성만 된다면 늦게 작성되도 처벌되지 않습니다미작성 시 최대 500만원 이하 벌금이 부과됩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5.11.19
0
0
4일 근무 시 주휴수당 발생 유무가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말씀대로 7일이상 근로관계가 존속되어야 주휴수당이 발생하므로 4일 일했다면 주휴수당 대상 아닙니다또한 주15시간 이상 소정근로시간 계약이 되어야 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11.19
0
0
근로시간에대해궁금해서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근로자의 근로시간은 근로자와 사용자가 합의하는 바에 따라 정하는 것이므로 1시간을 하든 4시간을 하든 가능합니다다만 근로시간에 따라 주휴수당, 휴게시간 등이 달라지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11.19
5.0
1명 평가
0
0
사장님이 주휴수당 안주십니다 어떡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월급직이 아니라 일용직이라하더라도 상당기간 반복해서 고용이 된 상태였고 주15시간 근무하고 소정근로일이 어느정도 특정된다면 주휴수당 지급대상이 됩니다.그런데 달력의 x표시가 의미가 불분명해서 명확한 답은 어려우나 만약 소정근로일이 사용자 말대로 전혀 정해진바없이 실질적으로 일용직처럼 그때그때 불러서 일을하는 것이라면 주휴수당 대상은 되기 어렵기는 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11.19
5.0
1명 평가
0
0
임금체불 야간근무 계산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야근근로를 하는 경우 야간근로수당 50%가 가산되며 말씀하신 계산법이 맞습니다. 다만 5인이상사업장만 해당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11.19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