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서울 인구로 볼 때 아파트 공급이 부족한 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최근 서울의 5년간 아파트 분양 물량을 보면 전국 평균의 1/4수준이며 300명당 1가구만 공급된 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2025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약 2만5000~3만7000가구 전망되며2026년 2027년 입주물량은 1만가구가 채 안되며 역대 최저치에 근접할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서울은 전국 인구 18%를 차지 하지만, 신규 아파트 분양 물량은 전국 물량의 6%내외에 불과해 공급 절벽 현상이 심해지고 있습니다.서울 아파트 공급은 인구 대비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이는 토지 부족, 수요 집중, 공급 구조적 한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단기적으로 공급부족이 지속될 것이며 가격 상승이 예상됩니다.이상입니다.감사합니다.
Q. 주택자와 주택 임대사업자들 간에 왜 이런 내용들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무주택자 입장은 '내 집 마련 기회 상실과' 임대료 상승, 자산 격차 확대를 우려하여 임대사업자 중심의 정책이 집값을 올렸다고 생각합니다.임대사업자 입장은 자신들이 임대주택 공급자로서 주거 안정을 돕는다는 입장이며, 세재 혜택없이 임대 사업이 위축되면 임차인에게 불리한 구조 임대료급등이나 공급 축소가 초래 한다고 주장 하고 있습니다.실제 아파트를 임대사업자가 매수 하지 못해도 아파트 가격은 상승한 것 으로 나타났으며 임대사업자가 주범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임대사업자와 무주택자의 갈등으 ㄴ세제 혜택, 정부 정책, 주택 공급 및 집값 상승 요인에 대한 이견에서 출발하며 각각의 입장에서 계속 대립 될 것 같습니다.이상입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