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

김민선 전문가
본라인의원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무릎에서 뚝뚝 소리가나요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 보호대를 할 경우 장시간 찰 경우에는 확실히 해당 관절이나 근육의 힘이 빠질 순 있습니다. 왜냐하면 무릎 보호대의 의존하게 되면서 근육이나 관절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무릎쪽에서는 굽혔다 폈다 할때 나는 소리는 무릎 뼈 정렬의 문제로 의심이 됩니다. 무릎 뼈 정렬이 틀어지면 움직임을 할때마다 뼈와 뼈끼리 틀어지면서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이 원인으로는 고관절이나 발목 부터 뭔가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위 아래 관절에서 문제가 있어서 사이에 있는 무릎쪽까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건 교정치료나 도수치료를 통해서 뼈의 정렬을 잡아주셔야 합니다. 정형외과에서 진행 가능하니 잘하는 병원 찾아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부디 잘 회복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끊어진 근육은 붙나요? 상처로 남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다른 영상학적인 자료(사진이나, 엑스레이 혹은 초음파 영상)가 있으면 더 좋은 답변이 나올 수 있을거 같지만, 현재 질문내용만 보았을때는 근육이 파열되어있거나 힘줄이나 근육이 끊어진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근육이 끊어지면 꼬메는 수술을 하지 않는 이상 끊어진 상태로 남아있게 됩니다. 근데 병원에서 보존치료만 말씀하신것으로 보면 일상생활에 문제 없게끔 끊어져있거나 심하게 파열되진 않은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다른 하나로는 한쪽 종아리를 아파서 안쓰는 동안 근육이 빠졌을 수도 있습니다. 여러가지가 의심이 되긴 하는데, 우선 끊어졌고 근육이 빠졌건, 재활을 하기 위해서는 단계별로 하는게 중요합니다. 저희 근육의 안정성을 올리기 위한 운동들로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등척성, 구심성, 원심성 이 세가지 운동을 해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관련 영상은 비복근 등척성 운동.. 이런식으로 세가지를 유튜브에 치면 나오고, 반드시 운동 전 후에는 스트레칭을 꼭 해주셔야 합니다. 이렇게 해보시면 점점 기능적으로 회복될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손목을 접질렀을 때 할 수 있는 운동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어르신들은 낙상이 정말 위험합니다. 낙상 시 예상치 못한 근육이나 관절을 과하게 사용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서 부상이나 근육 구축이 심하게 올 수 있습니다. 우선 손목쪽은 어느정도 통증이 나아지셨다면, 손목에 대한 운동을 가볍게 해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생수병 정도 들어주시고 손목 운동을 하는데, 운동 명칭으로는 손목에 대한 스트레칭을 먼저 해주시고, 등척성, 구심성, 원심성 .. 이 세가지 운동을 유튜브에 찾아서 가볍게 생수병정도 들고 진행해주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키워드는 손목 등척성 운동 이런식으로 세가지 방법의 운동을 해주시고 운동 앞뒤로 스트레칭 꾸준히 해주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위의 운동들은 손목의 안정성을 키워주는 운동으로 효과가 좋을것으로 보입니다. 부디 잘 회복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손가락수지증후군으로 주사를 맞았는데, 그 이후에 어떤걸 하는게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손바닥근육부터 시작해서 전완근 쪽의 근육을 반대손으로 풀어주시던 아니면 마사지볼이나 폼롤러로 풀어주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보통 수지증후군은 손바닥에 근육만의 문제가 아니라 아래팔 (전완근)쪽에서 부터 문제가 시작됩니다. 그래서 일단 주사로 통증이 완화되셨으면 손바닥 근육부터 시작해서 전완쪽 근육까지 풀어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럼 회복속도도 빨라지고 굳어있는 근육들도 뭉침이 풀릴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온열 치료 같은 것도 같이 해주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부디 잘 회복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아버지께서 최근에 낙상으로 허리에 통증이 생겼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상황에 따라 달라서 잘못된 스트레칭하면 오히려 아플 수 있어 보입니다. 보통은 어떤 동작에서 아프다거나 아니면 어떤 움직임을 하거나 자세.. 이런 특징들을 말씀해주셔야 정확한 답변이 될 수 있어 보입니다. 낙상도 넘어지는 방향에 따라 뭉치는 근육이 달라서 허리가 아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잘못된 스트레칭 (반대 방향의 스트레칭)을 했다가 허리가 더 아파질 수 있어 이런 외상적인 부분으로 통증을 나타낼 경우에는 병원에가서 전문가에 촉지를 통한 치료를 하시는게 안전하고 좋습니다. 엑스레이는 뼈의 골절 정도 보는 수준이고, 도수치료 같은 경우는 대체의학적 접근으로 근육이나 힘줄 인대를 직접 촉지하여 문제되는 부분을 잡아주는 치료입니다. 엑스레이상에서 문제가 없는데 지속적으로 아프다면 도수치료쪽 접근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낙상에 의해 허리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윌리암 운동 이라고 유튜브 치면 나오는데 그걸 해보고 괜찮으면 하시고, 아니면 하지 마시고 병원 가셔서 도수치료같은 식의 치료를 접근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부디 잘 회복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이석증이 왔는데 자가치료법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이석증은 무조건 병원 가셔서 전문가에게 치료 받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유튜브에 떠도는 이석증 자가 치료 이런거 잘못 따라하다가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석증 환자가 제법 있었는데, 이석증을 고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이석증 전문 의료진을 잘 찾는게 중요합니다. 일전에 이석증으로 고생하는 지인이 있었는데, 거의 전국 병원을 다니다가 수원에 좋은 병원을 다니게 되면서 크게 호전되었고, 지금은 이석증이 말끔히 해결되었습니다. 제가 어디라고 정확히 말씀은 못드리겠고, 수원쪽에 이석증 전문 병원이 있으니 수소문 해서 그쪽 가보시면 효과 보실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혼자서 절대로 머리 돌리고 이런 동작 잘못하시면 안됩니다. 부디 잘 회복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손가락에서 딱딱 소리 나는거 치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소리가 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특히 소리가 많이 나도 통증만 없다면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지금 질문내용 보면 통증은 심해보이진 않는데, 중지 같은 경우 다 피는데 힘이 들 정도라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현재 어떤 이윤지 모르겠지만 손쪽 관절이나 근육들이 많이 뭉쳐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게 지속되면 나중에는 전반적인 손가락 움직임이 잘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한번 병원 가셔서 손가락쪽 엑스레이 찍어보시고, 그에 따른 진료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거 같습니다. 보통 손가락쪽에 문제가 생기면 어깨쪽도 같이 긴장을 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을때 바로 치료하는것이 현명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자다가 다리에 쥐가 많이나는건 평소 생활의 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혈액순환이 안되면 쥐가 더 날 수 있습니다. 특히 심장과 먼 다리쪽은 혈액순환 입장에서 불리합니다. 혈액순환은 신경이나 근육의 컨디션을 안좋게 만들어주어 피로도가 높아지면서 다리 쥐가 많이 납니다.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혈액순환을 잘 되게 할 수 있게끔 몸 컨디션을 만들어주시는게 좋고, 다른 하나로는 내 체형 교정을 해주시는게 좋은 방법입니다. 우선 혈액순환 증진을 위해서는 반신욕이나 주기적으로 가볍게 전신 운동을 해주시고, 식단관리가 있습니다. 그리고 체형 교정은 다리가 쥐가 날 경우는 보통 골반이나 고관절이 틀어진 분들이 많습니다. 그럼 거기에서 나오는 신경까지 압박을 받을 확률이 높으며 그러면서 다리의 쥐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형외과에서 엑스레이를 촬영하고 이에 따라 틀어진 내 하체를 맞춰주는 것이 중요해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어깨 저리고 아픈데 집에서 어떻게 치료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보통 저리다는 것은 신경학적인 반응입니다. 그럼 어깨가 저리다는 것은 어깨를 지배하는 신경이 현재 압박되거나 손상되어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그리고 누워있을때도 아프다는 것은 누울때 어깨 신경이 눌려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신경이 예민하게 반응한다는 것으로 보이며, 이럴 경우에는 어깨 신경을 지배하는 신경을 유하게 만들어주는 치료가 중요해보입니다. 일단 목쪽 근육에서 어깨를 지배하는 신경이 분포되어있습니다. 그래서 목쪽 근육을 풀어주시고, 예후를 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폼롤러나 마사지볼로 풀어주시면 되고 해당 영상들은 유튜브에 잘 나와있습니다. 그런데도 예후가 좋지 않다면 정형외과 가셔서 정밀 검진 받고 치료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어깨가 저린다는 것은 좋은 신호는 아닙니다. 나중에 팔까찌 다 저리고, 무감각해질 수 있으니 빠른 치료가 중요해보입니다. 부디 잘 회복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손가락 골절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골절이 발생하게 되면 해당 관절의 기능적인 움직임이 나오지 않습니다. 손가락 같은 경우 예시로 들면 굽히고 피는 동작을 하는 관절입니다. 근데 갑자기 이 동작들이 잘 안되거나 아예 통증때문에 안된다면 골절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엑스레이 찍기 전에 골절의 기준은 해당 관절의 기능적인 움직임이 나오는지가 중요합니다. 다음으로 팝 소리가 났다는게, 손가락을 굽혔다 폈다 할때 나온건가요?? 보통 관절에서 나는 소리는 통증이 있지 않다면 관절 사이의 기포가 빠지면서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리가 난 후 뜨거워지고 아프다는 것을 보았을때는 뼈와 뼈끼리 마찰이 생겨 염증반응이 일어난것으로 의심이 갑니다. 일단 기능적 움직임도 안나오면 바로 병원 가보셔서 확인해보시고, 그게 아니면 며칠 두고 보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부디 잘 회복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